|
24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공급망에서 탈피하기 위해 일본과 한국, 대만 등 아시아 각국과의 협력을 통해 안정적으로 제품을 조달할 수 있는 체제를 정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바이든 대통령은 각 부처에 공급망 개선 및 강화를 위한 국가전략을 수립하는 행정명령에 이르면 이달 중 서명하기로 했다.
니혼게이자이가 입수한 이 행정명령 초안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반도체뿐 아니라 배터리와 희토류, 각종 필수 의료품 등을 대상으로 공급망을 강화한다는 내용을 추진한다. 이 행정명령에선 ‘동맹국과의 협력이 (미국의) 강력한 공급망으로 연결될 것’이라는 큰 원칙을 천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적대국에 대한 제재나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유사시에도 제품 공급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체제를 구축하도록 할 방침이다.
연초부터 가시화된 반도체 부족은 미국 자동차회사 등에 직격탄이 되고 있다. 이에 대만 등에 차량용 반도체 증산을 요구하고 있지만, 단기적인 대책은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반도체 굴기에 나선 중국의 반도체 생산 능력은 2030년에 24%로 세계 최대가 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은 희토류의 약 80%를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의료품에 대해서도 최대 90%를 대중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공급망을 중국에 의존하면 안보 우려가 생겨 무역규제를 통해 압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중국은 앞서도 센카쿠열도 등으로 갈등을 빚은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을 규제한 전력이 있다.
다만 반도체를 비롯한 이 같은 공급망 구축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 반도체 제조업체가 제한적이라 미국 정부와 보조를 맞출 지는 해당 기업들의 판단에 달렸기 때문. 이에 따라 반도체 공급망 구축은 각국 정부의 이해와 협력을 필요로 한다고 니혼게이자이는 지적했다. 한 일본 정부 관계자는 “현재 미국은 반도체와 희토류와 관련해 어느 국가에 얼마나 의존하는지 분류하기 위해 공급망에 대해 집중 검토할 것이라 들었다”며 “그 이후에야 동맹국과 대응책을 의논할 것”이라고 점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