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두통, 목, 어깨 통증, 어지러움 등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면서 내과, 신경과 등을 찾아가는 등 초기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다. 턱관절 장애 환자들이 초기 치료시기를 놓쳐 시간이 지체되면 턱을 옆으로 틀어 입을 벌리려 해도 입을 벌릴 수 없고 심하면 손가락 하나나 숟가락을 입에 넣을 수 없을 정도로 입이 벌려지지 않는다. 이 상태가 1개월 이상 지나면 골관절염으로 발전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입을 벌리거나 다물 때, 턱을 전후좌우로 움직일 때, 또는 음식을 씹을 때 귀 앞 부위인 턱관절에서 소리가 나는 사람은 전체 인구 3명 내지 4명 중 한 명 꼴로 나타난다(22~44%). 그러나 두경부 동통을 포함해서 입을 크게 벌릴 수가 없거나 다물 수 없는 경우 등 관절장애로 치료를 받아야 할 사람은 전체 인구의 5~7%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턱관절은 입을 벌리거나 다무는 것, 턱을 좌우로 또는 앞으로 움직이게 하고 음식을 씹을 지렛목의 역할을 하는 중요한 관절이다. 머리뼈와 아래턱뼈 그 사이 관절 원판인 디스크로 구성되어 입을 벌렸다 다물 때 움직이는 귀 앞의 양쪽 관절을 말한다.
대부분 턱을 움직일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입을 벌리고 다물 때 귀 앞 턱관절에서 소리가 나거나 경험이 있는 경우, 입을 벌리거나 다물 때 아프거나 잘 되지 않는 경우, 턱을 움직이거나 음식물을 씹거나 하품 시 귀 주변에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외 턱관절 주위나 머리, 목, 어깨의 근육통과 관련하여 두통도 주요 증상이라 할 수 있으며, 기타 관련 증상으로는 귀의 충만감, 귀울림(이명)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또한, 드물게는 턱을 가만히 두지 못하고 계속 움직이기도 하고, 이를 맞대고 서로 비비기(이갈이)도 하며 광대뼈 부위, 얼굴, 턱에 동통이 있다고 호소하기도 한다.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턱관절 장애를 직접, 간접적으로 일으키고 지속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외상(교통사고, 부딪히는 것, 얻어맞는 것 등), 아래윗니가 서로 잘 맞물리지 않는 경우(교합 부조화), 나쁜 습관(아래윗니를 서로 물고 있는 습관, 이갈이, 자세 불량 등), 심리적 원인(불안, 긴장, 우울)등의 복합요인에 의한 것이다.
턱관절 장애로 진단되면 환자의 턱관절 장애의 정도에 따라 치료법을 병행해 사용한다. 나쁜 습관 및 스트레스 등 잠재적인 원인을 찾아내서 이를 수정하는 행동조절 및 스트레스 관리와 함께 물리치료와 약물치료, 교합장치와 같은 비관혈적이고 보존적 치료법을 우선적으로 시행한다. 이 중 전체 환자의 5%이내는 보존적 치료법이 효과가 없거나 관절의 연조직과 경조직에 구조적 장애가 있는 경우에 외과적 치료법(관절경수술 및 관절성형수술 등)이 추천될 수 있다.
심 교수는 “턱관절 장애의 치료는 미리 예방하거나 초기에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와 관련한 생활습관 교정이 필요하다”면서 “단단하고 질긴 음식은 피하고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긴장 완화를 위한 이완운동을 실시한다.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적절한 수면을 위해 밤에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좋다. 평균 치료 기간은 1~4 주 간격으로 내원해 약 3~6개월 정도 걸리며 기본적인 치료법으로 환자의 80~90%는 완쾌되거나 거의 완쾌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