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못 만드는 정부의 무능에 민심 돌아서
스웨덴 모델의 핵심은, 정부가 국민들에게 세금 많이 거둬 복지를 책임지는 ‘큰 정부’에 있다. 국민소득의 절반 이상(50.5%)을 정부가 걷어가고, 그 대신 실업자에게 직전 급여의 80% 수준까지 수당으로 지급할 정도였다. 이 같은 복지지출은 70~80년대만 해도 노사갈등을 사전에 차단하며 성장동력으로 작용, 스웨덴을 1인당 국민소득 5위권 국가로 올려 놓았다.
특히 스웨덴 경제의 일자리 창출능력이 1992~2003년 OECD 주요 국가들 가운데 꼴찌로 추락한 사실은 국민들에게 충격을 줬다. 이 기간 아일랜드는 평균 2.1% 취업자가 매년 증가했고, 네덜란드는 1.4%, 영국 0.5%, 프랑스 0.5% 늘었지만, 스웨덴은 오히려 0.4% 줄어들었다. ‘유럽의 환자’라 조롱당했던 독일의 마이너스(-) 0.2%보다도 감소폭이 컸다.
이에 비해 70년대 유럽의 후진국이었다가 시장친화 정책을 꾸준히 추진한 아일랜드는 같은 기간 국민소득 순위가 22위에서 5위로 뛰어올라 스웨덴을 추월했다.
◆헷갈리는 한국 정부 분위기
우리 정부 관계자들은 스웨덴 총선결과에 당혹스런 표정을 지으면서 공식적인 입장표명을 삼가고 있다. 재경부의 한 간부는 “스웨덴 모델의 몰락이니 실패니 하는 식으로 말할 수 없다. 스웨덴 국민들이 자체적으로 성장과 복지의 새로운 균형을 찾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간부는 “스웨덴식 복지 과잉은 성장에 부담을 주고 경제 전반에 무리를 가져와 결국은 지탱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현 정부는 그동안 복지재정을 늘리는 등 ‘큰 정부’ 정책을 추진하면서 스웨덴 배우기에 앞장섰다. 특히 지난달 30일 발표된 복지국가 청사진 ‘비전2030’ 보고서는 향후 1100조원의 재원을 투입해 복지지출을 대폭 늘린다는 구상으로 스웨덴 모델을 거의 베끼다시피 했다.
노 대통령도 스웨덴 모델에 상당한 애착을 보여왔다. 노 대통령은 지난 2004년 7월 당시 권오규 청와대 정책수석을 OECD 대표부 대사로 내보내면서 “스웨덴 복지모델을 공부해 오라”고 지시했고, 2년 뒤인 지난 7월 권 대사를 경제부총리로 임명, 스웨덴식 복지정책 실현에 나섰다. 권 부총리는 노 대통령에게 제출한 보고서에서 “세금을 많이 걷고, 복지도 늘리는 체제하에서 스웨덴이 꾸준히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기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