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배진솔 기자] 한·미·중·일 주요국의 신산업 경쟁력 전망 조사 결과, 한국의 신산업 경쟁력은 5년 이후에도 하위권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선정한 주요 신산업 관련 협회 정책담당자를 대상으로 한국, 미국, 중국, 일본의 현재 및 5년 후 경쟁력 수준을 조사한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전기·수소차, 산업용 로봇 등 7개 주요 신산업 분야 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품목의 한·미·중·일 세계시장점유율을 조사한 결과, 5년 전과 현재, 그리고 향후 5년 후에도 한미중일 간 1위 산업 개수는 중국 3개, 미국 2개, 일본 1개, 한국 1개로 조사됐다. 전경련은 “각 산업별로 과거부터 비교우위를 가진 국가가 향후 5년 뒤에도 해당 신산업을 리드할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이 산업육성에 힘을 기울이고 있지만 역전시키기에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 관련 분야 기업주요 문제사항 (자료=전경련) |
|
한·미·일·중 4국의 신산업 경쟁력을 △전문인력 확보 △핵심원천 기술확보 △연구개발 투자 △신산업 창업 용이성 △정부지원 △안정적 법적기반 등 6개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면, 미국이 인력과 기술 중심의 4개 분야에서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한편, 중국은 정부지원, 안정적 법적기반 등 제도·인프라 중심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5년 뒤에는 미국이 모든 분야에서 경쟁력 1위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어 신산업에서 한·중·일과 미국과 상당한 수준의 경쟁력 격차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현재 기준 △신산업 창업 용이성 △정부지원 △안정적 법적기반 등 제도·인프라 분야에서 꼴지 수준이며 연구개발 투자 경쟁력도 4개국 중 가장 낮다. 실제로 OECD 통계에 따르면 2018년 국가별 총 연구개발비는 미국(5515억달러), 중국(4626억달러), 일본(1733억달러). 한국(954억달러) 순이다.
전문인력 확보 항목에서는 현재 한국이 중국보다는 근소하게 앞서지만 일본과 미국보다는 낮다. 5년 후 한국은 전문인력 확보항목에서도 중국에 추월당하고 핵심원천 기술 확보에서도 중국과의 격차가 좁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5년 후 한국은 정부지원과 안정적 법적기반 항목에서 4개국 중 가장 뒤쳐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연구개발과 신산업창업 용이성 항목의 경쟁력은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 신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필요한 것(자료=전경련) |
|
업종별 협회 정책담당자들은 한국 7대 신산업에서 소속 기업들이 느끼는 가장 큰 문제사항으로 △전문인력 부족(28.6%)△신산업분야 과도한 규제 및 불합리한 관행(23.8%) △선진국과의 기술격차(19.1%) 등을 지적했다. 아울러 이에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경직된 규제시스템 개선(21.4%) △산업수요에 부응하는 인력 양성(19.1%) △시장친화적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16.7%)△연구개발(R&D) 정부지원 강화(14.3%) 등을 손꼽았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전문인력확보와 제도·인프라 경쟁력이 4개국 간 꼴지인 결과와 일맥상통하다고 지적하며 “AI, 5G 등의 기술혁신 속도가 빨라지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급변하는 시장의 변화를 사업모델에 반영할 수 없게 만드는 경직된 제도, 과도한 규제가 큰 장애물이 되고 있어 이에 대응하여 한국의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실효적인 지원제도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