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이 나라는 기재부 나라냐는 어떤 분 말씀이 생각납니다.”(2020년 10월8일 페북)
“경제관료로서의 자질 부족을 심각하게 의심해 보셔야 합니다.”(2020년 12월22일 페북)
“(기재부) 게으른 거 아니냐…변화된 세상에 맞춰서 공부도 좀 하고 고민도 했으면 좋겠다.”(2021년 1월12일 KBS 라디오 인터뷰)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기재부를 연일 저격하고 있습니다. ‘무소불위 기재부’, ‘기재부 나라’, ‘자린고비 기재부’, ‘게으른 기재부’ 등 표현 수위가 센 발언도 적지 않습니다. 참다못한 홍 부총리가 되받아치면서 양측은 페북에서 설전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이 지사가 “전쟁 중 수술비 아낀 것은 자랑이 아니라 수준 낮은 자린고비임을 인증하는 것”이라고 하자, 홍 부총리는 “진중한 자의 뜻은 사소한 지적에 결코 흔들리지 않는다”고 응수했습니다. 기재부 내부에서는 “이 지사가 왜 이렇게 기재부를 물고 늘어지는 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하기도 합니다.
물과 기름과 같은 이재명·홍남기
|
특히 지자체에서는 기재부를 ‘자린고비’로 보는 시각이 강합니다. 지방재정이 열악해 정부보조가 절실한데 기재부가 충분히 지원하지 않고 있다는 인식이 많기 때문입니다. 한 정부부처 관계자는 “예산 시즌이 되면 전국에서 기재부 예산실 앞에 줄을 선다”며 “이재명 지사는 기재부의 ‘예산 칼질’에 대한 지자체의 속앓이를 대변하고 있는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둘째로는 이재명 지사의 대선 메시지 전략으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국민의 최대 관심은 경제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층이 공고한 가운데, 코로나19 상황에서 경제정책에 대한 반감도 적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여당 대선 후보를 준비하는 이 지사는 경제 문제에 대한 메시지를 낼 때 ‘줄타기’를 잘해야 합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문 대통령의 예스맨처럼 가면 지지율이 떨어진다. 그렇다고 문재인정부의 경제 정책을 대놓고 비판하면서 문 대통령에게 반기를 들 수도 없다”며 “이 지사는 홍 부총리를 물고 늘어지는 게 아니다. 친문과 반문 양쪽을 아우르는 경제 메시지 전략을 쓰고 있고, 이 전략 때문에 여론조사에서 이낙연 대표보다 앞서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
이 지사의 발언을 삐딱하게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이 지사가 표심을 고려해 대중에게 인기 있는 발언만을 골라서 하고 있다는 겁니다. 재정건전성, 경제 메시지 전략을 고려한 게 아니라 포퓰리즘일뿐이라는 시각입니다. 홍 부총리처럼 선별적 지원을 하자고 하면 반발이 큽니다. 곳간 상황이 어떻든 전 국민 재난지원금을 지급하자고 하면 박수를 받습니다.
이 지사의 진짜 속뜻을 정확히 알기는 힘들지만, 확실한 것은 앞으로 논쟁이 더 격화될 것이란 것입니다. 홍 부총리는 10일 KBS 일요진단에서 “정부 재정은 화수분이 아니다”며 “피해계층에 대한 선별 지원이 바람직하다”고 했습니다. 이 지사와 홍 부총리와의 2라운드가 예상됩니다.
홍 교수는 “올해 하반기로 갈수록 이 지사는 홍 부총리를 넘어서 문재인정권을 겨냥할 것”이라며 “문재인정부의 경제 정책에 대한 격한 논쟁이 벌어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어찌됐던 필요한 논쟁이지만 정치적 공방이 너무 크면 후유증이 오래 갑니다. 서로의 판단을 존중하고 다름을 이해하고, 국민에게 이로운 경제정책을 만드는 논쟁이 되길 바랍니다.
|
국가재정법 86조(재정건전화를 위한 노력)에 따르면 정부는 건전재정을 유지하고 국가채권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국가채무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만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가 적정수준인지 등 건전성을 판단하는 명확한 수치가 우리나라 법령에 규정돼 있는 것은 아니다.
정부는 지속가능한 재정을 구축하기 위해 재정준칙을 마련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가 2020년 10월 공개한 재정준칙에 따르면 국가채무 비율을 GDP 대비 60% 이하로 유지하고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를 GDP 대비 -3%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다. 기재부는 관련 내용을 담은 국가재정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올해 8월 발표하는 ‘2021~2025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도 이를 반영하기로 했다.
그러나 앞으로 얼마나 재정적자가 개선될지는 미지수다. 정치권에서는 2022년 대선을 앞두고 일단 재정을 대대적으로 풀자는 입장이어서, 재정준칙을 담은 법안이 국회 문턱을 넘을지는 불투명하다. 게다가 입법을 추진 중인 재정준칙은 차기정부 때인 2025년에야 시행되고, 재난 상황에는 적용하지 않는 등 예외조항도 뒀다. 입법도 어렵지만, 입법이 되더라도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