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지하철역사 無점포·無상업광고 시범사업
18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달 출범한 서울교통공사가 상가 중심으로 이뤄진 지하철 역사공간 개선을 위해 상가와 상업광고를 줄이거나 아예 폐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가와 통행로 기능 중심의 지하철역사를 문화와 예술이 숨 쉬는 공간으로 탈바꿈하겠다는 게 서울시와 교통공사의 목표다.
서울시 고위 관계자는 “상가는 당초 지하철역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보행로를 활용해 조성한 것”이라며 “보행자 이용통로라는 본연의 기능을 회복하고 시민의 휴식 및 문화공간으로 재조성해보자는 취지에서 광고·상가없는 지하철역을 검토 중”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상가를 얼마나 줄일 지 등에 대해 정해진 것은 아직 없다”며 “지하철역사 공간을 어떻게 활용할 지 과거와 다른 관점에서 바라볼 때가 됐다는 점에서 검토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와 교통공사는 시범사업을 통해 상가와 상업광고를 없앴을 때 나타나는 효과와 문제점을 분석한 뒤 확대적용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상가·광고 철수시 수익성 악화 상인 반발 불가피
상가·상업광고 감축에는 걸림돌이 적지 않아 이른 시기에 확산해 시행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당장 상가와 상업광고를 없애거나 줄이려면 입점상인 및 광고주와 계약을 모두 파기해야 한다. 이 때 서울시와 서울 지하철 1~8호선 운영기관인 서울교통공사는 막대한 위약금을 물어내야 한다. 특히 지하철역 지하상가에 입점한 상인 대부분이 자영업자라는 점에서 생존권 문제가 걸려 있어 반발을 피하기 어렵다.
상가와 광고를 줄일 경우 가뜩이나 열악한 교통공사의 재정이 더욱 악화할 수밖에 없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교통공사가 지난해 거둔 임대수익은 944억원이다. 작년 매출(1조9713억원)의 약 4.8%에 불과하지만 적자를 지속하는 상황에서 임대 및 광고수익과 같은 부대수익을 포기하기는 쉽지 않다.
지난해 서울교통공사의 영업손실은 서울메트로(지하철 1~4호선 운영) 509억원·서울도시철도공사(지하철 5~8호선 운영) 2796억원 등 3305억원에 이른다. 무임승차 확대에 따른 손실을 국가가 보전해주지 않는다면 적자폭은 확대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시 관계자는 “지하철역 지하상가의 변신은 보행중심의 도시와 문화와 예술이 있는 지하철역을 만들고자 하는 취지”라며 “지하철역 지하상가의 공실 현황과 각 역별 승하차 및 보행인원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해서 신중하게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