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재계에 따르면 최근 삼성과 롯데, KT(030200),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등 재계 주요 그룹과 경제단체에 대한 압박으로 경제분야 민간 외교 채널이 위축되고 있다.
올림픽 유치 앞장섰지만 돌아온 건 홀대
삼성은 삼성전자(005930), 삼성물산(028260) 등이 구축한 해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올림픽 공식후원 등 스포츠 외교와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총수 부자의 개인 네트워크 등을 통해 국제 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드높이는데 기여해왔다. 이건희 회장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으로서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에 가장 앞장선 경제계 인사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정부와 여당은 이들에 대해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 이른바 ‘패싱(Passing)’ 논란이다. 특히 이전 정권과 협력했던 점을 문제삼아 올림픽 기간 중 신동빈 회장은 구속됐고 KT는 압수수색을 당했다. 삼성도 역시 다스 소송비 대납 문제가 불거지며 움츠리기에 급급한 모양새다.
KT와 함께 역시 정부가 경영진 교체를 압박하고 있는 포스코(005490)의 경우 미국의 철강 분야 통상보복 조치에 대한 대응 준비로 바쁜 와중에 자국 정부가 오히려 부담이 되는 상황이다.
재계의 글로벌 네트워크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재계는 정부와 정치권이 무조건 압박만 가할 것이 아니라, 그 동안 재계가 쌓아 온 무형의 자산과 노하우, 관계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현재 우리나라가 처한 외교·통상 분야 난제 해결을 위해 협력하길 바라고 있다. 실제로 전경련이나 대한상의 등 주요 경제단체는 해외 경제단체와 교류하며 국가간 경제협력을 논의해왔고, 이에 따라 외교·통상 문제에서도 서로가 ‘윈-윈’ 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역할을 수행해왔다. 대기업들도 세계 각 국의 주재원과 거래선 등을 통해 정부간 직접 대화가 어려운 부분에서 대화의 물꼬를 트고 우호적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기여해왔다. 김승연 한화(000880)그룹 회장이나 최태원 SK(034730) 회장의 경우 최근 각각 미국과 중국에서 현지 오피니언 리더와 만나 한국의 입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과거 현대그룹 창업주인 고(故) 정주영 회장이 현대아산을 세우고 남북간 대화 분위기를 만든 사례를 되새겨봐야 한다”며 “기업도 국가 위상이 높아지고 외교 관계가 안정돼야 사업도 잘 되는만큼 정부가 기업을 민간 외교 채널로 인정하고 파트너로서 도와줘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