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마트와 보험료의 상관관계
미국의 의료보험 체계는 우리와 다르다. 기본적으로 우리나라처럼 공공기관이 아닌 민간보험사에서 일차적인 의료보험을 취급하는데 고용주 입장에서는 높은 보험료가 항상 부담이다. 이익을 추구하는 민간보험사가 주도권을 갖다 보니, 의료보험의 수준이 직업의 수준을 이야기 한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차별도 심하다.
하지만 경제활동을 하지 않거나 낮은 수준의 수입이 있는 계층인 노년층과 극빈층에게는 국가에서 직접 개입하여 무료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라는 공적 보험을 제공한다. 월마트는 이 제도를 악용하여 좋은 인재를 고용해서 높은 수준의 급여와 의료보험을 제공하기 보다는, 차라리 극빈층 수준의 낮은 급여를 주고 의료보험은 국가가 제공하는 혜택을 누리게 하고 있다. 저소득층 국민들 중 수입이 높아져 오히려 국가의 무료 의료보장을 받지 못할 것을 염려하는 사람들과 이해관계가 딱 맞아 떨어지는 것이다. 이 때문에 연간 400조의 매출 규모의 공룡 기업 월마트의 물건값은 저렴 할 수 밖에 없는데, 결국 정부가 세금으로 월마트가 판매하는 물건에 보조금을 대고 있는 어처구니 없는 형태인 것이다.
병원과 보험회사의 타협, 그리고 환자의 피해
이러한 이유는 미국은 병원비를 딜(deal)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병원에서 민간 보험회사로 병원비를 청구하려 하면 민간보험사들이 보험금을 줄이려는 노력을 하기 때문에 애초에 병원비를 높게 책정해서 청구해두는 것이다.
미국 제약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
우리나라도 의료 민영화가 된다면?
다행히 우리나라는 의료보험을 선택하는 것이 아닌 의무가입이다. 국민건강의료보험이 찾아서 가입 해야 하는 민간회사의 상품이 아닌 공적인 ‘제도’이기 때문에 미국과 같은 불합리한 상황과 위험에 노출되어있지 않은 것이다. 효율성을 따지자면 당연히 경쟁과 견제를 위한 민영화 논리를 이길 수 없겠지만, 이미 민영화된 의료서비스 때문에 되돌리기 어려운 지경에 이른 사례가 눈앞에 있다.
기본적으로 우리나라는 공공의료보험에서 상당부분을 커버하고, 민영의료보험인 의료실비에 가입되어 있다면 나머지 돈에 대한 부담마저도 줄일 수 있다. 의료서비스가 부담이 없다 보니 생기는 과잉진료 때문에 갱신형 의료실비보험이 오르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다. 만약 의료시스템의 주도권이 민영회사로 넘어 가게 되면, 개인 의료실비보험이 보험료가 오르는 것과 비교할 수 없는 불편과 부작용이 올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우리나라도 의료민영화에 대한 얘기가 나오는데 의료민영화가 된다면 앞서 말한 미국의 사례는 우리에게도 남일이 아닐 것이다. 시장논리를 받아들임으로 얻게 되는 효율성도 물론 중요하지만 시장효율성만을 이유로 의료민영화를 했다가는 수많은 사람들이 보험이 없어 의료혜택을 받지 못하는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마이리얼플랜(www.myrealplan.co.kr)은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고객과 설계사를 효과적으로 이어주는 플랫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