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의 입장에서 코로나 피해 계층에 대한 금융지원은 결국은 다 회수해야 하는 채권이다. 그런데 지원 대상인 피해 계층은 아무래도 재정 건전성이 낮은 신용 고위험층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확히 언제일지는 알 수 없으나 나중에 코로나 사태가 진정되어 금융지원이 종료되면 그 채권이 대거 부실화할 위험이 있다. 실제로 그럴 경우에 닥칠 금융불안은 적지 않은 부작용을 초래할 것이다. 행여 금융기관의 신용도 하락과 금융시장 자금경색으로 이어진다면 실물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코로나 사태가 방역 차원에서 진정된 뒤에도 경제적 후유증은 꽤 오래 지속되며 국민의 일상적 삶을 옥죌 가능성이 있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이런 가능성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하지만 금융기관 부실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이 금융 소비자의 편익을 해치는 방식이어서는 곤란하다. 집값 잡는 데 도움이 될 거라며 어제부터 시작한 신용대출 규제와 같은 일률적 관치금융 정책은 가급적 피해야 한다. 금융지원 출구 전략도 미리 빈틈없이 세워두지 않는다면 그런 정책의 되풀이로 이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