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김선영 DB금융투자 연구원은 “법치와 고령화가 더해져 금융과 스포츠의 규제는 완화하고 있다”고 “규제에 대한 과한 우려보다는 관심 산업을 바꿔 나갈 시기”라고 말했다.
중국은 최근 게임과 교육 플랫폼 등 다양한 영역에서 규제를 옥죄고 있다. 이런 규제는 중국 정치상관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018년 3월 헌법을 개정하며 2연임 초과 금지 조항을 삭제한 가운데, 내년 3연임의 기로에 서 있다.
시 주석은 중화민족의 부흥을 이끈다는 ‘중국몽(中國夢)’을 내세우며 집권 초반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3연임을 하려면 이를 넘어서는 새로운 키워드가 필요하다. 여기에서 제시된 게 ‘공동부유(共同富裕)’론이다. 향후 100년 동안 빈부격차를 줄여 모두 잘살게 하게 하겠다는 것이다.
|
이어 김 연구원은 “중국이 각 산업에 규제를 만들고 있는데, 이미 연초부터 민법, 식품안전법, 위생법, 외상투자법, 호구제도법, 저탄소법, 미성년자보호법, 개인정보보호법 등 상위 개념의 법도 제정했다”면서 “게임과 사교육, 플랫폼 기업들의 반독점 규제만 하는 게 아니라 전 분야에 거쳐 법이 생성되고 있고 각 산업단에 입법이 강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 주말 개인정보보호법이 통과됐고 최근 출산장려법안도 발표했다”면서 “개인정보보호법 통과로 게임, 페이시장에 대한 관리감독이 단기적으로 강조될 것으로 보이며 새학기를 맞아 교육 등 산업 역시 주기적으로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중국 국무원이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 제시한 게 ‘2021~2015년 전국민 신체단련 계획’이다. 스포츠산업을 2025년 5조위안(885조원) 규모로 키우고 체육시설과 서비스 시스템을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최근 중국 내 레깅스 판매가 증가하고 있고 스포츠 의류 기업에 관심이 집중된 것도 이같은 영향”이라며 “주도산업이 바뀌고 있고 지수 하단도 방어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