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정부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구체적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 등 공공기관이 공실 주택(빈집)을 매입·임대해 전세로 공급하는 방법이다. 오는 11일 부동산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전세 대책을 논의·확정할 것으로 보인다.
|
자치구별로는 종로구에 빈 단독주택이 346가구로 가장 많았고 이어 용산(328가구), 노원(236가구), 성북(179가구), 강북구(157가구), 서대문구(145가구) 등의 순을 보였다. 전세난이 상대적으로 심한 송파구와 서초, 강남, 강동구는 각각 35가구, 20가구, 11가구, 32가구로 물량이 강북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없었다.
또 중산층을 위한 중형 평형대의 공공임대 아파트 공급 방안도 조만간 나올 예정이다. 공공임대 기준을 기존 60㎡미만에서 85㎡미만으로 늘리는 방안이다. 4인 가족도 살 수 있는 공공임대를 만들겠다는 취지다.
지분적립형주택의 전체 지분의 취득비용은 최초 분양가격에 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이자율을 적용한 이자를 합산한 금액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고, 취득하지 못한 지분에 대해서는 임대료를 납부토록 했다.
그러나 월세 소득공제 확대 방안은 아직 검토 중으로 알려진다. 앞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정감사에서 월세소득공제 확대 방안을 언급했으나, 기획재정부 등의 협의를 거쳐야하는만큼 아직 결정돼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