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한국은행은 해외경제포커스에서 “선진국과 달리 신흥국의 경우 금리인상이 시작되기 1분기 전에 국내총생산(GDP)대비 0.72%의 추가 자본유출(100bp)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다”고 말했다.
선진국의 경우 1분기 전 GDP대비 0.21% 자본유출이 이뤄진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금리인상 시작 1분기 이후 신흥국의 경우 오히려 GDP대비 0.52% 규모의 자본이 추가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선진국은 GDP대비 0.31%의 자본이 유입됐다.
한편, 미 연준 통화정책과의 비동조성, 재정건전성, 변동환율제 등이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일부 상쇄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정 조사역은 “미 연준 통화정책과의 비동조성과 재정건전성이 높을수록, 변동환율제 시행국가일수록 자본유출 규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반면 정책금리 인상을 통한 내외 금리차 축소가 자본유출을 억제한다거나 자본시장의 개방도가 높을수록 자본유출이 심화된다는 주장은 통계적 근거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