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산홀딩스 새 최대주주로…개미들 반발
액트는 LG전자 부회장을 역임한 구승평 전 대표가 2004년 창업했다. 휴대폰 등에 들어가는 인쇄회로기판(PCB)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LG이노텍, LG전자 등 LG그룹 계열사들을 주요 고객사로 뒀다. 설립 10년 이상이 지난 2016년 6월 구 전 대표는 인수합병·경영컨설팅 업체인 더플라잉홀딩스에 회사를 매각해 처음 주인이 바뀌었다. 더플라잉홀딩스는 1년여만인 지난해 8월 낙산홀딩스 전신인 메드리치대부유한회사와 최대주주 변경 양수도 계약을 맺었으며 이후 11월 사명을 바꾼 낙산홀딩스가 최대주주에 올랐다.
회사와 소액주주간 갈등은 새로운 최대주주가 경영권을 쥐게 되면서부터다. 적자를 이어오던 2015년부터 최근까지 회사를 이끌던 전문경영인 김성범 대표를 해임하고 최낙훈, 김창준 각자대표 체제를 구축하자 소액주주들이 경영 능력에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지난해 선임한 최낙훈 대표도 IT 업종과 무관한 경력을 지녔으며 김창준 대표는 낙산홀딩스 최대주주인 박현자씨의 아들이다.
소액주주들은 대부업을 영위하는 낙산홀딩스가 사실은 자기자본을 들이지 않고 액트를 인수한 무자본 인수합병(M&A) 형태라고 주장하고 있다. 2017년 12월 기준 낙산홀딩스의 재무상황을 보면 자산총계 116억4800만원에 부채총계 115억3900만원으로 자본총계 1억900만원에 불과한 기업이다. 게다가 지난달에는 보유주식 144만여주를 담보로 돈키훼밀리로부터 20억원을 대출 받기도 했다. 소액주주 연대 대표인 유승덕씨는 “현재 부채만 놓고 볼 때 월 1억원 이상의 이자 비용이 쌓인다는 의미로 장기간 경영을 해나갈 최대주주가 사실상 무자본 상태인 것”이라며 “정상적인 경영이 가능할지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가처분 소송 후 임시주총 표 대결 관건
소액주주들은 지난해 47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턴어라운드에 성공한 회사가 경영권 교체로 다시 부실 상태로 접어드는 것은 아닌지 걱정하고 있다. 회사는 2014~2016년 연속 영업손실을 냈다가 김 대표 체제를 갖춘 지난해 흑자 전환했다. 4년만에 배당을 재개하기도 했다. 하지만 IT 업종에 대해 이해도가 낮은 최대주주가 김 대표를 해임하고 친인척으로 경영진을 구성하는 등 모습을 볼 때 지속 경영 의지가 있는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다.
최근 추진하는 유상증자가 최대주주측 자금 조달 창구로 이용될 것이라고도 의혹을 내놓고 있다. 회사는 차입금 상환을 목적으로 184억원대의 일반공모 방식 유상증자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소액주주들은 현재 부담하고 있는 차입금은 안정적으로 차환 가능한 수준인데 무리한 유상증자를 실시해 주가를 희석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ㄲ다. 특히 임시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모은 소액주주들과 표 대결을 앞둔 상황에서 지분율 10.18%(1분기말 기준)에 불과한 최대주주측이 유상증자를 통해 경영권 방어 용도로 사용할 것이라는 추측이다.
유 대표는 “주가를 싸게 살 수 있는 공모 방식 유상증자를 진행하면 소액주주들보다는 차익을 노리는 최대주주측 투자자들이 자금력을 동원해 더 많은 물량을 차지하게 될 수밖에 없다”며 “회사는 별다른 이유 없이 임시주총 개최일을 유상증자 이후로 미뤄놓은 상태”라고 말했다.
회사는 이에 대해 향후 고객사 판매 부진에 따른 실적 저하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손실 보전과 차입 상환, 신규 투자를 위한 유상증자는 불가피하다고 해명하고 있다. 액트 재무팀 관계자는 “이번 유상증자는 올해 영업손실에 대비하고 차입금 상환을 위해서 실시하는 것”이라며 “증권신고서 정정보고서 제출 요구 또한 좀 더 상세하게 작성하라는 일반적인 수준의 내용 보완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현재 경영진의 해피드림 경력이 있는 것은 맞지만 그것만으로 현재 확정되지 않은 자금 유출 가능성 등을 제기하는 것은 추측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앞으로 지켜볼 부분은 신주발행금지 가처분 신청에 대한 판결과 이후 임시주총이다. 세부 의안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사내·사외이사를 추가로 선임할 예정이다. 이때 사측과 소액주주들간 표 대결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소액주주들은 주주제안을 통해 5명의 이사를 후보로 올려놓은 상태다.
유 대표는 “올해 1월만 해도 이사회가 유상증자안을 부결시킬 정도로 자정 능력이 있었지만 최대주주가 이사들을 내보내면서 회사 장래가 불투명해졌다”며 “현재 확보한 의결권은 300만주 이상으로 향후 추가 의결권 위임 등을 통해 주주권리를 행사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