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정치로 유명한 프랑스 로베스피에르의 ‘우유가격 통제 사례’는 전 세계에 많은 화두를 던진 뼈아픈 기록이다. 선의가 반드시 좋은 결과로 이어지진 않는다는 것과 시장통제는 부작용이 따르기 마련이라는 사실을 역사가 증명한 셈이다.
|
문재인정부 들어 이 역사적 사건이 자주 거론되는 것은 그만큼 규제가 많다는 방증이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부동산 정책이다. 현정부는 집권 3년 반동안 스 24번의 굵직한 부동산대책을 발표했다. 대부분 규제방안들로, 내놓은 대책이 잘못된 방향으로 흐르면 이를 바로잡겠다며 더 센 규제를 내놓는 식이었다. 주택담보대출강화, 규제지역 지정, 분양가상한제 시행, 공시가격 인상을 통한 세부담 강화, 개정 임대차법 시행 등은 규제가 규제를 부르며 탄생한 것들이다. 동시에 획일적인 규제로 시장을 이기려는 정부의 무모함을 여실히 보여준 것들이다. 하지만 지금 부동산시장은 유주택자도 무주택자도 분노가 치미는 형국이다.
시장을 이기려는 불통정책은 실패한다
현재 우리나라도 비슷한 정책을 쓰고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주택자에게는 형벌적 과세 정책을 펴는 반면 무주택자에게는 다양한 청약기회를 부여하는 등 사실상 1가구 1주택을 원칙처럼 여기는 분위기다. 규제를 통한 수요 줄이기는 공급 축소로 이어지고 있고, 시장에 거래물량이 나오지 않아 오히려 집값이 급등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실제로 올해 9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 수는 2만8309가구로 사상 최저 수준이다. 보통 미분양 주택은 6만 가구 정도여야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수요 등에 대비할 수 있다고 본다.
규제일변도인 현 정부의 부동산정책이 의도조차 나쁘다고 볼 순 없다. 로베스피에르의 우유정책도 의도는 더 할나위 없이 선했다고 경제학자들은 말한다. 하지만 그 결과는 참혹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