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3년 전 첫 만남…의제에서 꽉 막혔던 남북 국회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0일 대국민보고를 통해 “합의서에 담지는 못했지만 구도로 합의된 것들이 많다”며 “국회회담을 가까운 시일 내에 개최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정상회담에는 3당 대표가 특별수행원 자격으로 동행,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만나 남북 국회회담의 개최 등을 상의했다.
한국학중앙연구소가 출간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남북국회간 교류의 시작은 198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84년 9월 북한의 대남 수해물자 지원을 계기로 남북접촉 창구가 열렸고, 1985년 7월 판문점 중립국감독위원회 회의실에서 첫 예비접촉을 했다.
이후 얼어붙었던 남북한 국회관계는 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다시 해빙무드로 접어들었으나 상징적인 교류 이상의 성과를 내진 못했다. 2008년 김형오 국회의장이 제헌절 60주년 경축사를 통해 남북 교류를 다시 제안했으나 북한은 특별한 대답을 내놓지 않았다. 국회회담이 다시 거론되기까지 10년이 걸린 셈이다.
|
앞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평양공동선언 군사 분야 합의에 대해 “사실상 남북 간에 불가침 합의를 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힌 바 있다. 가장 까다로운 의제였던 불가침선언 문제에 대해 남북 국회의 의견차가 종전보다 훨씬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사상 첫 남북국회 본회담의 개최에 어느 때보다 높은 기대감이 실리는 이유다.
가장 큰 숙제는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등 보수야당을 어떻게 설득하느냐다. 특히 판문점선언 비준 동의부터 강력하게 반대해 온 한국당의 경우 비핵화 조치가 부족하다고 주장하며 국회회담 역시 보이콧할 가능성이 높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가 지난 21일 정상회담 동행 보고차 문 의장을 만난 자리에서 “국회의원 전체가 전원을 만나는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도 일을 시작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 것도 이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5당 모두의 뜻을 모으기 어렵다면 3당 또는 4당이라도 먼저 남북 국회회담을 준비해야 한다는 취지다.
의제문제 등 이른바 세부내용을 조율하는 것도 남북국회 본회담에 앞서 풀어야 할 중요한 숙제다. 북측이 3당 대표에게 “남북 국회가 만나면 실속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 것도 앞서 수차례 예비회담을 열고도 세부조율에 실패, 본회담에 실패한 과거를 지적한 것으로 보인다. 국회는 문 의장의 남북 국회회담 제안에 대한 북한의 공식적인 답을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