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체제 3기, 즉 장기 집권을 앞두고 중국에서 부의 분배를 강조하는 개념인 공동부유가 부각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베이다이허’ 회의 이후 “공동부유는 사회주의의 본질적 요구이며 중국식 현대화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언급하면서 “질 높은 발전 속에서 공동부유를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후 중국 주요 빅 테크 기업들이 거액의 기부금을 내면서 공동부유 정책에 지지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최근 빅테크 기업들에 대한 강력한 규제 움직임이 큰 틀에서 ‘공동부유’ 정책 추진의 일환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다는 평이다.
박 연구원은 “공부론은 인구의 90%가 농민이고 빈곤층이 절대 다수를 차지했던 상황에서 빈곤 탈출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고 한다면 공동부유는 빈부격차 확대, 중진국 함정, 미·중 갈등 속에서 소득분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성장 우선주의에서 소득 분배 중심으로 정책 방향이 전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박 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내수 부양에 다소 소극적이었지만 향후 소비 등 내수 경기 부양에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중국 역시 코로나19와의 동거 경제를 선택할 여지가 높다는 점에서 강력한 방역으로 위축됐던 경제 모멘텀이 재차 회복될 여지가 높아진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빅테크 등 거대 기업에 대한 중국 정부의 보호는 약화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중국의 디지털 경제 성장 속도가 둔화될 여지가 있다”며 “중국이 궁극적으로 자국 시장을 개방할 수밖에 없겠지만 이전에 디지털 경제 혹은 첨단산업에 대한 강력한 규제의 틀을 마련한 후 시장을 개방할 수 있음은 중국 금융시장에 대한 글로벌 자금의 경계감을 높일 수 있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