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까지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은 양(量) 중심이라고 본다. 반면에 국민들은 질(質)을 요구하고 있다. 일반가구수 대비 주택수를 의미하는 주택보급률은 통계청 자료에서도 2010년부터 100%를 넘어섰다. 최근 들어 주택난이 심각해지자 지난 8월에 문재인 정부도 수도권에만 127만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발표했다. 내년부터 청약이 시작되는 3기 신도시 물량만 30만가구에 달한다. 양으로만 보면 주택공급 물량이 부족하다고 말하기 어렵다. 하지만 지금 우리 국민들이 원하는 것은 양보다 질이다. 30년 전인 1990년만 해도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6516달러였지만 2018년에는 3만달러를 돌파했다. 절대빈곤의 시대에는 양이 중요했다. 지금은 다르다. 모두가 삶의 질을 이야기하는 시대다. 얼마되지 않는 ‘호텔 전세’에 대한 논란도 양이 아니라 질을 요구하는 국민의 목소리로 인식해야 한다. 이제는 주택정책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모든 제도와 관행을 질(質)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
건설산업만 해도 산업화 초창기인 1970∼1980년대에 대부분의 제도와 관행이 마련됐다. 오늘날 4차 산업혁명을 말하면서도 실제 제도와 관행은 2차 산업혁명기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공공과 민간을 막론하고 건설산업에서 오랫동안 운영해 왔던 가격 중심의 최저가 낙찰제만 해도 질이 아니라 양 중심의 제도다. 가격경쟁 입찰을 통해 투입되는 비용을 최대한 줄일수록 발주자에게 이득이 된다는 가정을 밑바탕에 깔고 있다. 하지만 선진국일수록 가격(price)이 아니라 가치(value)를 중시한다. 공사비가 싼 것보다 운영비용을 포함한 생애주기비용이 절감되는 것을 더 선호한다. 특히 선진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최저가 낙찰제가 설계나 엔지니어링업체를 선정할 때도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러다 보니 설계나 엔지니어링의 용역단가는 20여년 전이나 지금이나 별반 차이가 없다. 제조업이야 기술개발과 생산프로세스 혁신을 통해서 제조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겠지만,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인 설계나 엔지니어링과 같은 서비스 산업은 용역단가를 낮추기 어렵다. 그렇다고 해서 인력투입도 줄이기 어렵다. 각종 법·제도와 규정에서 투입인력의 수를 규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정한 국가기술자격증을 가진 투입인력의 수만 따지지 전문성이나 역량은 제대로 따지지 않는다. 성과물이나 산출물의 질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투입 양만 따지고 있는 것이다. 고부가가치의 지식산업이야 할 설계나 엔지니어링산업에서 입찰가격이나 투입인력 수와 같은 양만 따져왔으니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