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발(發) 추가 부동산 대책이 예고되면서 서울 곳곳에서 신고가 릴레이가 이어지고 있다. 다주택자 부담을 높이기 위해 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뿐 아니라 거래세 성격의 양도소득세·취득세 강화까지 거론되면서 매물 잠김을 우려한 ‘막차 수요’가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강남권을 비롯한 마·용·성(마포 용산 성동구), 노·도·강(노원·도봉·강북) 등의 아파트 신고가가 연일 경신 중이다.
|
8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동작구 상도동 래미안상도3차 아파트(전용면적 164㎡)는 지난 3일 14억원에 손바뀜했다. 지난해 말 거래된 거래가보다 1억원이 뛰었다.
마포구 공덕동 꿈에그린아파트(전용113㎡)도 지난 6일 직전 거래가보다 9000만원이나 뛰었다. 13억 3000만원에 매매가 이뤄지면서 지난해 말 거래가인 12억 4000만원의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
서울 아파트값은 6·17 대책 이후 연일 상승세였지만 추가 대책이 예고되면서 ‘막차 수요’까지 가세했다는 게 중개사무소의 설명이다.
여기에 더해 정부와 여당이 양도세 강화·취득세 강화 등 추가 부동산 대책을 예고하면서 앞으로 매물잠김을 우려한 매수세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실제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부동산단기투자근절법’을 발의, 보유기간 1년 미만 아파트를 팔 시 양도세율을 50%에서 80%로 높이자고 주장한다. 또 여당 내에서는 취득세를 최대 15%까지 부과하는 법안까지 거론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양도세 부담 탓에 매물이 잠길 여지가 크다. 아울러 추후 주택을 사게 될 시 취득세가 중과될 수 있다는 부담감에 매수자들이 ‘막차 매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마포구 공덕동 K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추가 대책을 내놓는다는 계획이 나오자 매수자들이 더 급하게 집을 사려는 것 같다”며 “오히려 몸 닳은 건 집주인이 아니라 집 사려는 매수자들”이라고 말했다.
홍춘욱 EAR리서치 대표도 “대책이 나올 때마다 집값이 오르다 보니 매도자입장에서는 좀 더 기다려보고 팔자는 심리가 강해졌다”며 “이미 올해 재산세·종합부동산세 중과 등도 끝난 마당에 매도자들이 급하게 팔 이유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양도세 부과 등으로 매물이 잠길 것으로 예상되면서 매수자들이 더 급해진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