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현재 강원도 양양을 거점으로 한 ‘플라이양양’이 지난해 12월 신규 운송사업 면허를 신청한 후 심사를 받고 있다. 현행 항공법에 따르면 항공기 3대와 자본금 150억원을 갖추고 있으면 LCC 운송사업 면허를 받을 수 있는 기본 조건이 된다.
충북 청주를 기반으로 한 ‘K에어항공’과 대구지역의 ‘에어대구’도 각각 내년 초와 올해 말 첫 운항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 경상남도는 영남권의 5개 기업이 출자해 ‘남부에어’를 설립할 예정이며 포항에선 LCC는 아니지만 50인승 소형기를 운영하는 ‘에어포항’을 세우고 소형항공운송사업권을 지방항공청에 신청한 상태다. 에어포항을 제외하면 4곳이 더 생겨 국적 LCC만 10개에 달하게 된다.
지역 경제 활성화? “단기 성과에 급급”
앞다퉈 LCC를 출범시키는 지자체들은 사업성이 크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지자체가 설립한 항공사를 통해 중국이나 동남아 등에 비행기를 띄우면 각 지역으로 유입되는 관광객 수가 늘어나면서 지자체의 관광·서비스 산업이 활기를 띄게 된다. 선순환이 이루어지면 항공사와 공항은 물론 지역경제까지 모두 윈윈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항공산업은 장기적인 시각에서 운영해야 할 사업인데 새로 생기는 LCC들은 지자체의 단기적인 성과를 위해 설립하는 경향이 크다”며 “LCC업계가 쌓아 올린 공든 탑이 무너질 수 있어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지연 심화·안전 우려 등 고객 피해↑
제주공항은 물론 김해공항과 김포공항 등 국내 공항은 지금도 스케줄이 꽉 차 지연 출·도착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국내 대형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도 정시 운항률이 세계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상황. 항공업계에선 지속적으로 제2 공항 설립과 슬랏 추가 설립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한 LCC 관계자는 “국내 공항은 완전 포화상태라서 여객기 한대가 10분만 지연되도 줄줄이 지연된다”면서 “커퓨 타임때문에 하룻밤을 꼬박 지새고 다음날 출발하는 경우도 생기는 마당에 LCC가 더 생기면 지연 출발 등이 더욱 심화돼 고객들의 피해가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전에 대한 우려도 있다. 지난 10년 동안 6곳의 LCC가 생겨나면서 기장과 정비사를 구하기 쉽지 않은 상황으로 실력을 입증 받지 못한 인력을 해외 등지에서 데려와 투입하게 되면 사고 위험 등이 커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