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는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1351.62포인트(6.38%) 폭등한 2만2552.17에 거래를 마쳤다고 밝혔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각각 154.51포인트(6.24%)와 413.24포인트(5.60%) 뛰어오른 2630.07과 7797.54에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의 사흘간 상승폭은 20% 이상이다. 대공황 당시인 1931년 이후 최대치다. 이를 두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역대 최단기 약세장이자, 새로운 강세장의 시작”이라고 표현했다.
사실 이날은 미 노동부가 지난주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발표되는 날이어서 우려의 목소리가 작지 않았다. 최근 들어 ‘충격적인’ 실업대란을 점치는 목소리가 워낙 컸기 때문이다. 실제로도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총 328만3000건으로, 전주(28만1000건) 대비 약 12배로 늘었다. 코로나19 확산을 억지하기 위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각주(州)의 자체적 ‘봉쇄조치’가 사실상 전국적으로 확산하면서 사상 최대 규모인 150만건 수준에 달할 것이라는 게 애초 시장(월스트리트저널)의 예상이었는데, 이보다 곱절이나 더 많은 수치가 나온 것이었다. 지금까지 주간 기준 최대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982년 10월 당시 69만5000건이었다.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이날 CNBC방송에 “지난 주말까지만 해도 기업들은 현금이 없었고, 어떤 보호 조치가 도입될지 몰랐기 때문에 근로자를 해고하는 것 외에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며 지금의 숫자는 의미가 없다고 했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정책국장도 폭스뉴스에 “예상했던 결과”라며 개의치 않아 했다.
|
므누신 장관과 나바로 국장의 ‘배짱’에는 다 이유가 있었다. 전날(25일) 미국 상원을 만장일치로 통과한 트럼프 행정부의 2조2000억달러(약 2700조원) 규모의 경기 부양 패키지 법안, 이른바 ‘슈퍼부양책’ 효과도 버팀목 역할을 톡톡히 할 것이고 예견한 것이다.
이날 매우 이례적으로, 그것도 실업수당 청구 건수 바로 직전에 공중파 방송에 출연한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이 다시 한 번 ‘경기부양 의지’를 확인한 점도 증시를 강하게 떠받혔다는 분석이다.
파월 의장은 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이미 코로나19발 경기침체에 들어갔음은 인정했다. 다만, 과거의 침체와는 결이 다르다고 했다. 그는 “우리 경제에 펀더멘털(기초여건) 상 문제가 없다. 오히려 반대다. 2월까지 경제는 아주 잘 작동했다”고 설명한 뒤, “원칙적으로 우리가 바이러스 확산을 꽤 빨리 통제하게 되면 경제활동은 재개될 것이고, 우리는 반등이 가능한 한 강력하게 이뤄지게 하고 싶다”고 했다.
파월 의장은 “연준은 코로나19발 신용경색이 발생하지 않도록 강력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자금공급에 관한 한 우리의 탄약은 바닥나지 않을 것이다.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 15일 제로금리(0.00∼0.25%) 채택과 양적완화(QE) 재개를 공식화한 데 이어 23일엔 무제한 QE를 선언하고, 사상 처음으로 회사채 매입을 시작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의 대책을 뛰어넘는 수준이었다. 더 나아가 그는 “우리는 여전히 경기부양을 위한 다른 측면의 정책적 공간이 있다”며 또다른 정책 수단을 강구할 수 있다는 점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