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 인 | 이 기사는 11월 19일 08시 38분 프리미엄 Market & Company 정보서비스 `마켓 인`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
[이데일리 문정현 기자] "혹시 나온 내용이 정말 이것뿐인가요?"
재정부가 외국인 채권투자 과세에 대한 입장을 발표한 후 나온 시장참가자들은 다소 허탈하다는 반응을 내비쳤다. 정부가 해외 자본유출입을 막기 위해 칼을 빼들었는데, 그 내용이 예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해석이다.
어제(18일) 재정부는 외국인 국채채권 투자수익 과세와 관련해 "국회에 제출된 의원입법안 취지에 동의하고 신속히 법 개정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탄력세율을 검토하고 있고, 과세 시점이 이달 12일부터 소급 적용될 것이란 내용이 담겼지만 이 역시 새로울 것 없다는 평가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채권값이 오르더니 약세 재료로 인식되던 규제안이 윤곽을 드러냈음에도 마찬가지 결과를 보였다. 금통위든 규제안이든, 발표를 불확실성 해소로만 받아들이며 채권가격이 반대로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청개구리 장세가 앞으로 지속될 지는 알 수 없다. 어제 정부의 입장 발표는 규제안 도입의 첫 테이프를 끊은데 불과하다.
임종룡 기획재정부 1차관도 브리핑에서 "시장에서 얘기되는 여러 방안을 놓고 검토 중"이라며 "시장상황을 감안해 빠른 시일내에 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선물환포지션 한도 축소나 은행세 도입은 채권과세보다 채권·외환시장에 더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채권 과세가 부활해도 기대수익률이 세율보다 높다면 채권 투자자금이 계속 유입될 수 있지만, 은행세나 선물환포지션 한도 축소는 자금유입 자체를 억제하는 기능이 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동안 채권시장은 추가 규제안에 대한 탐색전을 부지런히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이 다시 규제 리스크를 스스로 반영해 나갈지가 관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