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남의 월가브리핑]결국 모든 시장의 키는 연준이 쥐고 있다

이번달 FOMC 앞두고 쏟아지는 월가 전망들
마켓워치 "매우 긴 논의…테이퍼링 다가갈 것"
블룸버그 설문…델타, 긴축 스케줄 영향 미미
시장 인사 92% "국채·MBS 동시에 테이퍼링"
연준의 긴축 스케줄 판단에 금리 등 출렁일듯
신흥국들 더 문제…올해 4번 FOMC 이목 집중
  • 등록 2021-07-26 오전 8:14:16

    수정 2021-07-26 오전 8:14:16



<미국 뉴욕 현지에서 월가의 핫한 시선을 전해 드립니다. 월가브리핑이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고 투자의 맥을 짚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팬데믹이 본격화한지 이제 1년반이 다 돼 갑니다. 한국은 방역정책의 강도가 세지만, 미국은 그렇지 않습니다. 뉴욕 월가는 대다수 금융사들이 주 2회 출근을 시작했고, 오는 9월이면 주 5회로 확대합니다. 백신을 믿고 경제를 재개한 것인데요. 저 마음 속 깊은 곳에는 ‘계속 이대로 살 수는 없지 않느냐’는 통제 피로감이 있는 듯합니다.

경제가 살아나니 금융시장에 눈길이 자꾸 갑니다. ‘역대급’ 돈 풀기로 초강세장을 누려왔기 때문이겠지요.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모두 연일 신고점을 갈아치우고 있고요. 당초 예상과 달리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1% 초반대로 낮아져 있습니다(국채가격 상승).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할 것 없이 오르는 ‘에브리싱 랠리(everything rally)’는 지속할 수 있을까요.

그래서 월가가 가장 주목하는 곳이 연방준비은행(Fed)입니다. 연준은 지난해 팬데믹 직후 기준금리를 연 0.00~0.25%로 제로(0) 수준으로 인하하고, 매월 국채 800억달러와 주택저당증권(MBS) 400억달러를 각각 사들이는 양적완화(QE)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같은 초완화의 방향을 조금씩 돌리려는 게 최근 기류입니다. 27~28일(현지시간)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열리는데, 월가에서는 이를 둘러싼 각종 전망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번달을 빼면 연내 남은 FOMC는 △9월 21~22일 △11월 2~3일 △12월 14~15일 등 세 번입니다. 시간이 그렇게 많은 건 아니지요. FOMC를 목전에 두고 주요 매체들이 쏟아내는 정책 전망을 다뤄볼까 합니다.

(출처=마켓워치)


갈수록 커지는 연준 내부의 매파 목소리

시장전문매체 마켓워치는 24일 “(이번 FOMC에서) 연준이 테이퍼링(채권 매입 축소) 쪽으로 살금살금 다가갈 것”이라며 “매우 긴 논의(a lengthy discussion)를 벌일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번 FOMC에서는 많은 내용이 나오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월가의 컨센서스입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지난 회의에 비해 약간의 힌트를 더 주는 정도일 것이라는 겁니다. 마켓워치는 “투자자들이 명확한 답변을 원한다면 실망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도이치방크의 매튜 루제티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파월 의장은 테이퍼링이 다가오고 있다는 신호를 주는데 그칠 것”이라고 했고요. 멜론의 빈스 라인하트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테이퍼링을 위한 확실한 증거를 내놓으라는 목소리는 (예상보다) 덜 강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연준은 그동안 테이퍼링을 위한 근거로 ‘상당한 추가 진전(substantial further progress)’을 언급해 왔습니다. 이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가 고용입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41만9000건으로 전주(36만8000건) 대비 5만1000건 늘었습니다. 실직자가 깜짝 증가했다는 것입니다. 델타 변이 위험까지 닥치면서 파월 의장이 이번달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 면모를 보일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옵니다. CNN은 “이번달 연준 정책에 어떠한 변화도 없을 것”이라며 “델타 변이는 연준의 결정을 더욱 어렵게 할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채권 구루’ 모하메드 엘 에리언 알리안츠 수석경제고문은 “시장은 연말 테이퍼링을 예상하는 일부 조건을 들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미적지근한 회의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연준 내부의 ‘매파(통화 긴축 선호)’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테이퍼링을 개시하기 좋은 위치에 있다”는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대표적입니다. 무엇보다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 마켓워치는 “(파월 의장이) 8월 잭슨홀 미팅에서 실질적인 테이퍼링 방안을 언급할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고 했습니다. 불과 한 달 뒤입니다. 테이퍼링 시행 자체에는 이견이 없는 만큼 그 시기상 이번달 생각보다 강한 신호가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엘 에리언은 “궁극적으로 연준은 긴축을 향해 나아가야 할 것”이라며 “이번 인플레이션 사태는 지난 수십년 동안 우리가 겪었던 것과는 전혀 다르다”고 했습니다. 기자가 만난 한 뉴욕채권시장 인사는 “(오는 30일 나오는) 6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를 주목하고 있는데, 5월 근원 물가 상승률을 또 뛰어넘어 3% 중후반대로 오를 것으로 본다”며 “연준이 델타 변이와 관련한 눈에 띄게 새로운 비둘기파 발언은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습니다. 그만큼 인플레이션 상황은 만만치 않습니다.

(출처=로이터)


시장 인사 92% “국채·MBS 함께 테이퍼링”

블룸버그는 지난 16~21일 월가 이코노미스트 5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습니다. 이들 중 71%는 “8월 잭슨홀 혹은 9월 FOMC에서 테이퍼링을 위한 조기 신호를 보낼 것”이라며 “12월 테이퍼링을 공식 발표하고 내년 1분기부터 본격 시작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델타 변이가 긴축 스케줄에 주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는 분위기입니다. 블룸버그는 “이번달 FOMC 논의의 상당 부분은 테이퍼링을 어떻게 할 지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블룸버그 설문의 또다른 포인트는 MBS를 먼저 줄일지 여부입니다. 연준이 MBS를 사주면서 모기지 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까지 낮아졌고, 이 때문에 미국 집값이 치솟고 있다는 얘기가 요즘 설득력 있게 돌고 있습니다. 미국부동산중개인협회(NAR)에 따르면 6월 기존주택(신축주택 제외) 거래가격 중위값은 전년 동월 대비 23.4% 오른 36만3300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역대 최고치입니다.

그런데 이에 대해서는 8%만이 MBS부터 테이퍼링을 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46%는 “연준이 국채와 MBS 매입량을 똑같은 금액으로 줄여서 MBS 매입을 먼저 종료할 것”이라고 했고, 나머지 46%는 “사들인 비율에 비례해 테이퍼링을 해 동시에 끝낼 것”이라고 했습니다. 픽텟 웰스 매니지먼트의 토머스 코스터그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테이퍼링은 매달 국채와 MBS 매입량을 100달러씩 줄이는 식으로 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파월 의장은 “연준의 MBS 매입과 집값 급등에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고 했는데요. 월가는 여기에 더 손을 들어주고 있는 셈입니다. 테이퍼링의 방점은 역시 MBS보다 국채이지요. 연준이 테이퍼링에 다가갈수록 국채 물량 확대에 대한 관측이 짙어질 수 있고요. 이는 곧바로 국채금리 상승(국채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금융시장에 부담이 되는 재료입니다.

블룸버그는 또다른 보도를 통해 채권시장 참가자들의 분위기를 전했는데요. “이번 FOMC는 채권 투자자들이 면밀하게 해석해야 할 코멘트들로 가득 찰 것”이라며 “시장 참가자들은 잠재적인 시장 불안에 대비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출처=월스트리트저널)


미국보다 전세계 신흥국들 충격파 클 것

월스트리트저널(WSJ) 역시 “연준 인사들이 이번 회의 때 테이퍼링과 관련한 잠재적인 전략에 대한 공식 브리핑을 받을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다.

WSJ는 특히 “적절한 정책 대응을 두고 연준 당국자들 사이에 어느 때보다 의견이 분열돼 있다”며 연준 내 매파와 비둘기파간 의견 대립을 전했습니다. 연준 출신의 윌리엄 잉글리시 예일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2013년 테이퍼링 당시에는 연준의 생각대로 모든 게 이뤄져 딱히 (다른 의견들을) 조정할 필요가 없었다”면서도 “이번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잉글리시 교수는 2013년 테이퍼링을 지근거리에서 지켜본 연준 출신 인사이지요. 그만큼 근래 들어 연준 내 매파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런 관측들이 쏟아지는 건 결국 시장의 모든 키는 연준이 쥐고 있다는 인식이 짙기 때문입니다. 예상과 달리 1% 초반대까지 떨어진 미국 국채금리가 연말 2% 가까이 치솟을 것이라는 전망의 강력한 근거도 연준입니다. 연준이 항공모함의 방향을 돌리는 순간 많은 게 바뀔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이건 비단 미국 얘기만이 아닙니다. 연준이 움직이면 전세계 신흥국들은 더 많은 영향을 받게 됩니다. 한국은행이 미리 긴축 신호를 보낸 게 다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미국에서 심심치 않게 나오는 게 스태그플레이션(경제 불황 속 물가 상승) 우려인데요. 연준의 긴축 조짐 와중에 델타 변이가 겹치면서 성장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지요. 중요한 건 미국이 위기를 맞으면 신흥국들의 충격파는 몇 배는 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올해 몇 번 남지 않은 연준 FOMC에 전세계의 시선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사진=AFP 제공)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몸짱 싼타와 함께 ♡~
  • 노천탕 즐기는 '이 녀석'
  • 대왕고래 시추
  • 트랙터 진격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