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분단 이후 최초로 남한땅을 밟는 북측 최고 지도자인 김정은 위원장을 향해 국빈에 준하는 예우를 한다는 방침이다. 군 의장대 사열을 포함한 공식환영식이 대표적이다. 앞서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의 경우 평양 방문 당시 북측 육해공군 의장대의 사열을 받은 바 있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이어 소나무 공동식수, 친교산책, 환영만찬, 환송행사 등을 통해 정상간 우의를 다질 예정이다.
주목되는 점은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남북 정상간 논의 내용이다. 이번 회담은 5월말 또는 6월초로 예상되는 북미정상회담의 길잡이 성격이다.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을 지렛대 삼아서 북한 비핵화 문제를 종지부를 찍을 수 있는 역사적인 전환점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이 지난 2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전화 통화에서 “종전 선언은 남북만의 대화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 남북미 3자 합의가 이뤄져야 성공을 할 수 있다”고 언급한 게 대표적이다.
국제사회의 이목이 집중된 남북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은 비핵화 문제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고 의미있는 언급을 내놓을 가능성이 크다. 북한은 비핵화를 담보로 관계정상화를 포함한 북미수교 등 체제안전 보장을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역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전제될 경우 관계정상화에 나설 수 있다는 의사를 내비쳐왔다.
남북 양측의 공식수행원 면면을 살펴보면 정상회담의 성과를 어느 정도 예측해볼 수 있다. 우선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해빙 무드 당시 핵심적 역할을 담당했던 양측 인사들이 대거 포함됐다. 우리 측 수행원은 임종석 비서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송영무 국방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 정경두 합참의장 등 7명이다. 정경두 합참의장이 포함된 게 의미심장한 대목이다. 또 지난달 초 대북특사단의 일원으로 평양을 방문, 김정은 위원장과 4시간여에 이르는 만찬회동을 가졌던 정의용 실장과 서훈 원장도 포함됐다.
주목할 점은 지난 2000년과 2007년 제 1·2차 정상회담 때와는 달리 남북의 외교장관들이 공식수행원에 이름을 올렸다는 점이다. 이는 한반도 비핵화 문제에 대한 남북한의 의견접근 또는 합의를 상대적으로 낙관할 수 있는 대목이다. 북한은 그동안 핵문제의 대화 당사국으로 우리 정부가 아닌 미국을 고집해왔다. 아울러 남북한의 군 수뇌부가 이번 회담에 배석한다는 점에서 군사적 적대행위 중지는 물론 종전선언에 대한 진전된 논의도 오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