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두고 하는 말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반도체 업황 호조의 이유는 ‘5세대 이동통신(5G)에서 찾을 수 있다. 5G가 본격적으로 확장되면서 스마트폰, 인터넷 데이터센터 등에서 그만큼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 5G 기술을 활용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 등 신산업 확대가 예상돼 다량의 고효율 메모리 반도체가 필요한 때다.
수요는 늘어나는데 공급은 한정돼 있으니 가격도 올라가고 있다.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 1,2위인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는 급물살 타는 업황 호조에 맞춰 매출 증대를 위해 캐파(생산능력)를 풀가동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박 교수는 “D램만 올해 15%~20% 성장을 예상하고, 낸드에서는 5%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 시나리오대로 간다면 반도체는 계속 부족하고 가격은 올라가거나 유지되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문제는 재료’라고 했다. 그는 “국내 반도체 회사들은 작년에 투자한 공장까지 풀가동하면 올해 말에 수요와 공급을 맞출 여력이 된다”면서도 “문제는 웨이퍼 업체들이 반도체 업체가 필요한 만큼의 웨이퍼 공급을 못하면 생산을 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웨이퍼는 반도체를 제조하는 출발원료다. 박 교수는 현재 메모리반도체뿐만 아니라 시스템 LSI와 파운드리 비즈니스가 확장되고 있는 상황이라서 상당량의 웨이퍼가 공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부 차원에서 반도체 호황 신호에 맞게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정부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국산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연구개발(R&D)지원은 미국을 따라가는 추격형”이라며 “앞으로는 선도형 R&D 투자를 통해 국내 업체들이 앞서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교수는 “현재 기업에게 가해진 규제 중 R&D 인력에 대해서는 52시간 근무제 탄력성을 줘야한다”며 “환경이슈에 대해서도 시간을 길게 가지고 중소·중견기업도 따라올 수 있도록 연성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했다. 이 밖에도 △지속적인 소부장 국산화 예산 투입 △대기업·중소기업 상생 추진 △화관법·화평법 등 환경관리법에 패스트트랙 지원 등을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