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득과 신용도가 낮아 제도권 금융에서 소외된 서민을 지원하기 위한 서민금융이 도입된 지 올해로 10년을 맞았다. 가계대출 문제가 우리 경제의 뇌관으로 떠오른 가운데 문재인 정부가 서민 빚 탕감에 속도를 내면서 ‘도덕적 해이’ 논란이 적잖은 상황이다.
김윤영(사진) 서민금융진흥원 초대원장은 25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채무조정 대상자의 대출원금은 약 1000만원, 연체 기간은 평균 6~7년”이라며 “이들에 대한 채무조정, 빚 탕감을 부정적으로 봐선 안 된다”고 말했다. 대출금을 갚지 않으면 고통스러운 추심에 시달린다는 것을 고려할 때 갚을 능력이 있는데도 갚지 않는 ‘도덕적 해이’와는 거리가 멀다는 판단이다. 김 원장은 서민금융 지원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한 한 사례자가 ‘이제는 전화도 맘편히 받을 수 있고 아무 때나 집에 갈 수 있어 행복하다’고 한 말을 들었을 때 가슴이 먹먹했다고 전했다.
서민금융진흥원은 서민금융 지원이 비효율적, 비체계적으로 운영되자 컨트롤 타워 총괄기구로 출범한 기관이다. 오는 9월이면 출범 2주년이 된다.
서민금융이 신용등급 6~7등급 지원에 집중되면서 8등급 이하 취약계층이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다소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단순히 신용등급이 낮다는 이유로 지원에서 제외된 건 아닐 것”이라며 “서민 금융도 금융이다 보니 다중 채무자, 채무 연체자는 추가 대출을 받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갚을 능력이 안되는 데 추가 대출을 해준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이들을 더 힘들게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금융지원보다 복지나 채무조정, 취업 알선 등 비금융지원이 바람직하다는 판단이다.
그는 앞으로 금융지원보다 비금융지원사업에 역점을 둘 계획이다. 단순히 퍼주기식 자금 지원은 자칫 밑빠진 독에 물붓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양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소득이 없고 갚을 능력도 없는 사람에게 자금을 또 지원하는 건 그들을 채무 불이행자, 파산자로 내몰 수 있다는 판단이다. 종합적이고 입체적인 분석을 통해 그들이 자립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진흥원의 역할이라는 것이다. 진흥원은 이를 위해 수요자와의 접점을 대폭 확충했다.
그는 “취약 계층 중 우리 원을 통해 1년간 3000명이 취업에 성공했다”며 “개인뿐 아니라 자영업자에도 창업·운영 자금 지원뿐 아니라 마케팅, 회계 등 경영 컨설팅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마지막으로 보건복지상담센터 전화번호 ‘129’와 서민금융진흥원 대표번호 ‘1397’을 강조하며 “경제적으로 어려울 때 혼자 끙끙 앓지 마라. 병에 걸렸으면 병원을 찾아가 진료를 받아야 병을 고칠 수 있다. 혼자 앓다가는 병만 키우고 나중에 치료비도 더 많이 든다. 어려운 건 환경 탓이지 본인의 잘못이 아니다. 지금 경제적으로 어렵다면 부끄럽다고 생각하지 말고 서민금융 지원센터를 방문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