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패션기업과 자동차, 주류, 생활용품 업체들이 요즘 반짝 경기를 누리고 있다고 한다. 일본제품 불매운동의 영향으로 반사적으로 매출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유니클로가 불매운동의 표적으로 떠오르면서 BYC, 이랜드월드 등의 매출이 늘어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하지만 이러한 기회를 살리지 못하고 되레 뒷걸음치는 분야가 있다. 바로 관광업계다.
‘노 재팬’ 운동이 확산되면서 일본 여행을 꺼리는 움직임은 뚜렷하다. 일본 항공노선이 감축될 정도로 한국인들의 일본 괸광이 급감했다. 그렇다고 국내 여행지로 눈길을 돌리는 것 같지도 않다. 오히려 외면하는 분위기다. 국내에서도 손꼽히는 경포해수욕장의 경우 여름철 피서객이 전년보다 50만명 이상이나 줄어들었다고 한다. 피서객들이 국내가 아닌 동남아 등으로 향하는 결과다.
이유는 뻔하다. 한탕 상혼이 관광객들의 발길을 막고 있는 것이다. SNS상에는 1박에 40만원 하는 민박집, 16만원짜리 닭백숙 등 터무니없는 바가지 요금에 분통을 터뜨리는 고발성 내용이 빗발치고 있다. 평소 요금의 3~4배나 덤터기를 씌우는 것이다. 아이스커피 한 잔 1만원, 국수 한 그릇에 1만 3000원이라니 더 할 말이 없다. 가히 ‘미친 숙박비, 미친 음식값’이다. 오죽하면 “돈 없어서 해외여행 간다”는 빈정거림이 나오겠는가.
사정이 이런데도 정부·여당은 국내여행 외면 대책을 내놓기는커녕 애먼 소리만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최근 ‘관광 활성화를 위한 현장 최고위원회’를 열었으나 구체적인 대안도 없이 그저 “국내 관광을 활성화해 일본 경제보복에 대응하자”는 얘기만 되풀이하고 말았다. 정부도 ‘국민들이 가고 싶은 관광환경 조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실효성 있는 대책은 못 내놓고 있다.
지난해 외국으로 나간 관광객은 3000만명인 반면 방한 여행객은 그 절반에 그쳤다. 132억 달러의 관광수지 적자가 그 계산서다. 일본여행 기피 수요를 국내로 돌리려면 ‘애국 마케팅’에만 기대서는 곤란하다. 바가지요금을 강력하게 단속하고 엄하게 처벌하는 등 서비스 문제부터 해결하는 게 급선무다. 관광지 상인들은 물론 정부와 지자체를 포함한 모두의 각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