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항만은 하역·이송·보관·반출의 항만운영 전 단계를 무인 자동화로 하는 차세대 항만이다. 현재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중국 양산항·청도항·상해항, 싱가포르 투아스항에 항만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됐다. 우리나라는 부산항 신항, 인천항에 유인·자동화를 결합한 ‘반자동화’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해양수산부는 대규모 국가 프로젝트인 한국판 뉴딜의 디지털 뉴딜 중 하나로 스마트항만 도입을 추진 중이다. 올해부터 광양항에 스마트항만 시범단지(테스트베드)를 검토해 2026년 구축을 완료하고, 현재 건설 중인 진해신항(부산항 제2신항)에 2030년부터 본격 도입하는 로드맵이다.
특히 김 부장은 차기정부가 출범하는 첫해인 2022년부터 항만 일자리 문제가 심각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자성대 부두가 북항재개발 2단계 사업에 따라 2022년에 폐쇄된다. 자성대 부두 인력 676명의 실직이 우려된다”며 “이런 상황에서 스마트항만을 부산항 신항에 도입하면 일자리 감소가 불가피하다. 일단 자성대 부두 인력을 신항으로 연착륙시킨 뒤 자동화 논의를 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김 부장은 스마트항만에 도입하려는 스트래들 캐리어 장비에 대해서도 안전 우려를 제기했다. 스트래들 캐리어는 항만 야드에서 기동성 있게 컨테이너를 옮기는 신형 하역장비로 운전석이 지상에서 10m가량 높게 설치돼 있다.
김 부장은 “문재인정부가 노사정협의체를 구성해 갈등을 해소하려고 하고 있고 근로자들에 대해 더 많이 고려하고 있다는 점도 알고 있다”며 “스마트항만 도입에 따른 근무 환경, 일자리 변화에 대해 현장의 우려를 더 세심하게 살펴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