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권거래소(NYSE)는 이날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225.92포인트(0.85%) 하락한 2만6313.65에 거래를 마쳤다고 밝혔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도 12.22포인트(0.38%) 빠진 3246.22에 장을 마감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4.87포인트(0.43%) 오른 1만587.81을 기록했다.
예상대로 미 경제가 지난 2분기 코로나19의 직격탄을 고스란히 받은 점이 확인된 점이 결정적이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미국의 2분기 성장률은 마이너스(-) 32.9%(연율)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사태가 시작한 지난 1분기 -5.0%를 기록, 6년 만에 역성장으로 돌아선 데 이어 하락 폭을 더 크게 키운 셈이다. 미 언론들은 “이번 2분기 성장률은 1947년 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래 최악”이라고 분석했다. 이로써 기술적인 ‘경기침체’는 공식적으로 확인됐다.
이른바 ‘락다운’(lock down·봉쇄) 여파로 실업자가 급증한 데다, 미 경제 3분의 2를 책임지는 버팀목인 소비가 곤두박질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 재확산이 계속되면서 미국의 ‘실업대란’이 또다시 악화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7월19일~25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자 수는 143만명으로 집계됐다. 전주(131만명) 대비 1만2000명 늘어난 수치로, 지난주 넉 달(16주) 만에 처음으로 증가세로 돌아선 데 이어 2주 연속 증가 흐름을 이어간 셈이다.
정치적 파장도 악재로 작용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오는 11월3일 예정된 미 대선을 사실상 연기하자고 제안한 것이다.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우편투표 확대가 자칫 부정선거 의혹으로 번질 수 있다는 논리를 내밀면서다. 비록 트위터를 통한 ‘떠보기’ 식 제안이었지만, 현직 대통령의 발언이어서 파장은 만만찮았다.
추가 경기부양책을 놓고 벌이는 여야 간 협상이 지리멸렬한 점도 악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장 마감 후 실적발표를 앞둔 애플과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모회사 알파벳 등 기술주들의 강세가 계속되면서 3대 지수는 반등을 시작했고, 이 가운데 나스닥 지수는 상승세로 돌아서 마감했다. 애플은 1% 이상 뛰었고, 아마존·페이스북도 0.5% 안팎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월가(街)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2.74% 상승한 24.76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