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남아 국가연합인 아세안(ASEAN)과의 협력을 전방위적으로 확대하겠다며 신(新)남방정책 구상을 발표한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문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국빈방문,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참석 등 숨돌릴 틈 없는 7박 8일간의 강행군을 통해 대한민국의 외교지평을 미중일러 4강외교 중심으로 아세안으로까지 대폭 넓혔다.
‘봄바람 부는 한중관계’ 文대통령, 시진핑·리커창과 사드갈등 ‘마침표’
이번 한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부에서 제기된 우려들은 기우에 불과했다. 문 대통령이 동남아 순방 직전 싱가포르 채널뉴스아시아(CNA) 인터뷰에서 “미국과의 외교를 중시하면서도 중국과의 관계도 더더욱 돈독하게 만드는 균형 있는 외교를 할 것”이라고 강조한 것이 효과를 발휘한 것이다.
지난 11일 베트남 다낭에서 시진핑 주석을 만난 문 대통령은 무척이나 밝은 모습이었다. 이틀 뒤인 13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리커창 총리와 회담을 가진 문 대통령의 표정은 더 환해졌다. 문 대통령은 “비 온 뒤에 땅이 굳는다. 한중관계는 새 시대를 맞고 있다”며 만족감을 나타냈다.
실제 한중관계는 급물살을 타고 있다. 지난 10월 31일 한중 외교당국간 합의에 이어 양국관계 개선의 중대 분수령을 맞이한 것. 한중 관계는 추운 겨울을 거쳐 봄이 왔다는 점에 양국 정상들도 공감했다.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논란으로 어려움을 겪던 때와 비교하면 말그대로 상전벽해다.
지난 7월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에도, 꽁꽁 얼어붙었던 양국 관계가 일거에 풀린 것이다. 회담에서는 바둑과 한시(漢詩)가 대화 소재로 등장할 정도로 분위기가 좋았다. 문 대통령은 특히 13일 리 총리와의 회담에서 사드 문제에 따른 국내 기업의 어려움을 조목조목 제기하면서 경제, 문화, 관광 분야 교류 활성화를 주문했다. 리 총리는 이에 구체적으로 답변하지 않았지만 “한중간 실질협력 전망은 아주 밝다. 미래를 자신할 수 있다”고 대답했다. 한중관계의 최종 분수령은 오는 12월 문 대통령의 중국 베이징 방문과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이 될 전망이다.
文대통령, 신남방정책 발표…아세안 관계 한반도 주변 4강 수준 격상
문 대통령은 이번 동남아 순방 기간 중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싱가포르와 정상회담을 갖고 방산협력, 인프라 구축, 정보통신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기로 하고 양자간 인적교류도 보다 다양화하기로 했다.
지난 5월 취임 이후 아세안 주요국에 특사를 파견하며 대아세안 관계 강화 입장을 밝힌 것의 연장선이다. 인구 6억3000만명, GDP 2조6000억 달러로 연평균 5% 성장하는 젊고 역동적인 아세안은 한국경제의 돌파구라는 인식 때문이다. 경제적인 이유만이 아니다. 식민지배의 아픔은 물론 민주화와 경제성장 등 비슷한 역사적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은 한·아세안 관계발전의 가능성을 높이는 대목이다. 이는 신남방정책 구상과 연결된다.
문 대통령은 동남아 순방 기간 중 발표한 ‘한·아세안 미래공동체 구상’과 관련, “함께 ‘더불어 잘 사는, 사람 중심의 평화공동체’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며 “한국과 아세안이 국민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나아가 국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국민외교를 전개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이와 관련 △교통 △에너지 △수자원 관리 △정보통신 등 4대 중점협력 분야에서 한국의 노하우와 경험을 전수하고 재정적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아울러 아세안 일부 국가가 요구한 새마을운동의 발전적 추진 입장도 내비쳤다. 문 대통령은 13일 한·아세안 정상회의 이후 “새마을 운동을 비롯해서 이전 정부에서 추진했던 내용들이 대외적으로 성과가 있다면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 달라”고 청와대 참모진들에게 당부하기도 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번 동남아 순방을 계기로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에 대한 아세안 회원국 및 APEC·EAS 정상회의 참가국들의 지지를 재확인한 것은 물론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홍보활동에도 전력을 기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