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는 지난 25일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와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한 추진상황 설명회에서 이 같은 수정 계획안을 발표했다. 이는 박원순 서울시장 등이 주장한 ‘용산공원 부처 나눠먹기’, ‘난개발 우려’ 등의 의견을 받아들인 결과로 풀이된다.
김경환 국토교통부 1차관은 “용산공원의 기본이념인 민족성, 역사성, 문화성에 충실하고, 생태공원이란 취지에 맞게 앞으로 부지 내 건물 신축을 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보존 및 활용가치가 높은 기존 건물에 대해서도 원래의 활용방안을 전면 재검토하고, 전문가 및 관계기관 협의, 국민적 공감대를 거쳐 활용여부를 최종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4월 29일 국토부는 공청회에서 용산공원 콘텐츠 구성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안을 발표했다. 당시 국토부는 “1200여 동의 건축물 중 보존이 필요한 건축물이 80여 동”이라며 “이 중 8개 시설물에 다양한 콘텐츠를 넣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에 대해“국토부가 발표한 공원조성부지 계획은 정부부처의 개별사업을 위한 땅 나눠주기식 양상”이라며 강력하게 반발했다. 시는 또“초기에 무분별한 콘텐츠 시설이 조성되면 향후 유사한 시설 진입을 막을 수 없게 돼 결국 난개발에 의한 공원의 집단적 훼손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와 별개로 공청회 당시 국립과학문화관 신축 계획에 대해 “정부가 용산공원을 조성하면서 개발사업에 치중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립과학문화관은 미래부가 제안한 사업으로 연면적 3만 3327㎡에 사업비 1200억원을 들여 짓기로 한 건물이다. 국토부는 결국 이 계획도 백지화했다.
이날 아드리안 구즈 대표는 “100년 이상 일본군과 미군의 군사기지로 사용되면서 훼손된 용산의 자연지형을 회복하고, 남산에서 한강으로 이어지는 녹지축을 복원하는 데 주안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병기창, 위수병원, 총독관저 등 일본군 부대시설 터로 추정되는 부지를 ‘마당’이라는 한국적 플랫폼으로 재해석해 공간을 조성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승효상 대표는 “내년 미군이 퇴거하면 그동안 보안문제로 조사 못했던 지하벙커, 유류저장고와 같은 지하 시설물 현황을 조성계획에 추가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