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의하면 골다공증 환자는 2018년 97만2,196명에서 2022년 119만3,492명으로 증가했다. 5년 동안 24%가 증가한 수치인데 골다공증환자의 94.4% 이상이 여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골다공증의 주요 원인이 노화와 호르몬 변화이기 때문이다. 여성의 경우, 폐경을 겪으며 뼈의 생성과 소멸에 관여하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급격한 감소로 골 소실이 빠르게 진행되어 남성보다 훨씬 쉽게 골다공증에 노출된다.
문제는 단순히 뼈가 약해진다고만 이해하면 그 위험성을 체감하기가 쉽지 않다는데 있다.
|
이처럼 고령 환자의 경우 골다공증골절은 급격한 상태 악화와 합병증까지 발생하게 되어 그 위험성과 치료 기간이 상당히 길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고관절 골절 환자의 1년 사망률은 20%로, 유방암과 유사하고 자궁내막암 보다 4배나 높다. 한국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 2025년이면 골절이 고령층에 미치는 영향은 더 증가하게 될 것이다.
다행히 골다공증 골절은 지속적인 약물치료와 생활습관 변화로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골다공증은 골밀도검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T-scores(티스코어)로 판단하는데, 수치가 -1 정도면 정상이고 -1~-2.5 사이라면 골다공증 위험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만일 -2.5보다 더 아래라면 골다공증에 위험한 수치라고 보고, 각종 검사를 추가로 진행해야 한다.
골다공증 약물치료와 함께 골절 이후의 재활 치료를 포함한 운동요법, 식이 및 영양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칼슘과 비타민D를 중심으로 하는 식이요법, 적당한 근력운동의 지속 등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골밀도를 높이면 튼튼한 뼈와 함께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를 보낼 수 있다.
대표적인 식이요법으로 △칼슘의 경우 800~1,000mg 섭취가 권장되며, 대표적으로 우유, 멸치, 해초, 두부 등의 식품이 칼슘의 주요 공급원이다. △비타민D의 경우 피부가 햇빛에 노출되면 자연적으로 합성되지만, 대부분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거나 겨울에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매일 약 800IU 이상의 비타민 D를 보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골다공증성 골절의 90%가 넘어져서 발생하기에 주변 환경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 밝은 조명, 욕조·샤워시설 손잡이, 바닥 매트 등을 설치하고, 바닥에 장애물을 정리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등 실내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고혈압약, 신경안정제, 항우울제 등 균형감각을 떨어뜨릴 수 있는 약을 복용한다면 더욱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