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내수 성장세가 2009~2013년 동안의 장기균형만큼 이뤄졌을 경우엔 24조9340억원의 부가가치가 더 창출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 고용률이 1.1%포인트 추가로 상승해 60.6%를 달성했을 것으로 봤다. 특히 잠재성장률이 0.4%포인트 상승해 4%에 근접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민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민간소비 및 총고정자본형성 증감률이 GDP 증감률을 밑도는 기간이 2000년대 들어 각각 9년, 11년을 기록했다”며 “내수부문의 실질 증감률이 GDP 증감률을 하회하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내수 침체를 가속화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민간소비가 부진한 원인으로 △소비여력 약화 △소득분배 구조 악화 △고령층 인구 확대에 따른 소비성향 하락 등을 꼽았다. 김 연구위원은 “세금 및 4대 보험 증가, 경기침체에 따른 주택자산 가격 하락, 가계부채, 전세 임차료 상승으로 소비여력이 줄어들고 있다”며 “기업과 가계의 소득 양극화, 길어진 기대수명 및 빠른 은퇴연령 등 노후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커진 것도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총고정자본형성이 침체된 것은 △경기 침체에 따른 기업 수익성 악화 △경기 불확실성 확대로 인한 투자 위축 △해외직접투자 증가 및 외국인직접투자 감소에 따른 국내 투자 위축 등 때문으로 분석했다.
내수 회복을 위해서는 소득분배구조를 개선하고, 일자리창출 및 투자확대 기업에게 세제혜택 부여 등과 같은 인센티브를 확대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또 수출품 관련 주요 핵심 부품ㆍ소재의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수입의존적 수출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 연구위원은 “계층상승 사다리를 강화해 중산층 70%를 재건하는 등 핵심 소비 계층을 확대하는 한편, 취약계층의 채무부담 완화 등 가계부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또 고부가가치 서비스업 규제완화 등 외국인직접투자 유치를 확대,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