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신문 | 이 기사는 이데일리신문 2012년 05월 23일자 1면에 게재됐습니다. |
[이데일리 박종오 기자]7.6%포인트. 서울시의 재건축정비사업 승인을 앞둔 강남 개포주공1단지 소형비율(22.4%)과 서울시가 요구하는 소형주택비율(30%)사에는 꼭 이만큼의 차이가 있다. 가급적 넓은 집을 지어서 살고 싶은 주민들의 요구는 여전히 서울시의 지침과 충돌하는 분위기다. 이데일리는 4회에 걸쳐 서울 강남권의 주요 재건축 단지들의 현황과 주민들의 목소리를 들어본다. [편집자]
개포 주공 1단지는 5040가구로 단지들 중 세대수가 가장 많고 대지 지분도 가장 넓은 아파트 단지다. 1982년 5월 입주한 아파트로 지은 지 30년이 됐다. 재건축을 통해 6218가구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개포 주공 2·3 단지의 계획안이 서울시를 통과하면서 1단지에도 청신호가 들어오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제기됐지만 분위기는 어두운 편이다. 서울시가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한 ‘소형주택비율 30%’가 여전히 부담스런 문턱이라는 게 현지의 목소리다.
개포주공 1단지는 당초 소형주택(전용면적 59㎡이하)비율 20%안을 서울시에 제출했었지만 이를 22.4%로 올리는 방안을 새로 마련하고 조합원 설문조사를 진행중이다.
구체적인 해법은 임대주택 ‘쪼개기’에서 찾았다. 당초 계획안은 임대주택을 전용 46㎡형과 59㎡형 두가지로 구상했지만 이들 임대주택의 면적을 36㎡ 단일형으로 줄이고 가구수를 393가구에서 571가구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변경하면 재건축 뒤 1단지의 전체 소형주택 비율은 22.4%로 증가한다.
조합측은 이 정도 증가분을 1단지 조합원들이 내놓을 수 있는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다. 심의 통과도 중요하지만, 소형주택 증가로 전체 주택수가 함께 증가하면 재건축 뒤 거주환경의 악화가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조합원들 다수가 높은 가격을 치르고 아파트를 산 투자자들인 만큼 소형주택 물량 증대에 따른 손해를 감수할 순 없다는 것도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개포주공1단지 조합은 오는 27일까지 이 같은 변경안으로 조합원 대상 1차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조사가 끝나는 대로 조합원을 모아 견해를 취합한 뒤 서울시에 새로운 계획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하지만 22.4%안 역시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는 기존 소형주택의 절반을 신축 뒤에도 소형주택으로 확보하라는 당초 요구에선 한발 물러섰지만, 이번 2,3단지 정비구역 지정 때 적용했던 30%비율을 잠정적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기 때문이다.
이웃 동네인 개포 주공 2,3단지가 동시에 정비구역으로 지정되며 이들 단지 세입자들의 동시다발적인 이주가 예상되고 있는 점 역시 개포주공 1단지에는 부담이다. 양 과장은 “(전세난 문제로)이주가 동시에 이뤄질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라면서 “만약 그렇게 된다면 시장충격을 감안해 시업시행인가의 시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실타래가 풀릴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정부의 5·10대책 전후로 널뛰기를 하던 1단지의 아파트 가격도 최근 들어 주춤하고 있다. 인근 중개업소들에 따르면 총선 뒤 정부의 활성화 대책에 대한 기대심리로 가파르게 치솟던 1단지 아파트의 매맷값은 현재 조정상태다.
아파트 인근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개중 거래가 가장 활발한 13평형이 총선 전 6억2000만원에서 5·10대책 발표전 6억8000만원까지 가파르게 치솟다가, 지금은 다시 6억5000만원까지 내려앉은 상황”이라며 “2,3단지의 정비구역 지정 뒤 분위기가 오히려 침체돼 하락세는 멈췄지만 거래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 ☞[강남 재건축의 딜레마]2.개포주공4단지 ☞[강남 재건축 딜레마]3.개포시영아파트 ☞[강남 재건축 딜레마]4.가락시영아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