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이후 일본 불매운동의 역사는 192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역사적으로 일제강점기 물산장려운동을 불매운동의 시초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1910년대 조선총독부가 일본 기업의 한반도 진출을 돕기 위해 회사 설립에 제한을 둔 회사령을 철폐했다. 이에 따라 일본 기업의 한반도 진출이 가속화하면서 경제적 예속이 심해졌다.
여기서 벗어나기 위해 1920년대 평양에서 조선물산장려회가 발족하고 국산품 애용 운동이 시작됐다. 당시 운동의 대표적인 구호가 ‘조선사람 조선으로’였다.
다만, 일제 탄압에 더해 국내 자본가들의 이익만 늘리는 한계에 부딪히며 첫 일본제품 불매운동은 1930년대 들어 명맥만 가까스로 유지하는 정도에 그쳤다.
이어 1990년대엔 △위안부 모집 문서 발견(1992년) △일본담배 퇴출운동(1995년)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1996년) 등과 관련해 세 차례에 걸쳐 불매운동을 했다. 1995년 일본담배 퇴출운동 당시에는 일본 대사관 앞에서 대표적 일본 담배인 ‘마일드세븐’(현 메비우스) 화형식을 진행하기도 했다.
2000년대 이후엔 일본이 본격적으로 과거사 왜곡을 시작하면서 이번 불매운동 전까지 네 차례나 불매운동이 벌어졌다.
|
다만, 이번 불매운동 이후 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사와다 가쓰미 외신부장은 칼럼을 통해 “당시 실제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2005년엔 일본 시마네현이 ‘다케시마의 날’ 조례를 제정하고, 앞서 논란이 된 후소샤 교과서가 일본 문부성의 검정을 통과해 반일 감정이 커졌다. 이에 국내 지방자치단체들은 일본 지자체와의 교류까지 중단했다. 시민단체 등의 주도로 미쓰비시, 후지츠, 가와사키, 이스즈 등 일본기업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진행됐다.
최근엔 2011년과 2013년 모두 독도 영유권 문제가 발단이 돼 불매운동이 있었다. 2011년엔 일본이 독도 영유권을 주장했고, 이어 2013년엔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 관료를 파견한 사건이 논란이 됐다.
한편, 이번 불매운동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한국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불만을 표출한 이후 반도체 소재 등 수출 규제로 경제보복에 나서면서 불거졌다. 앞선 불매운동과 달리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일본 기업 리스트까지 퍼지면서 사회전방위적으로 불매운동이 확산하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