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교수는 문재인 정부의 인수위원회 역할을 한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서 자문위원으로 활동한 국내 대표 소장파 경제학자다.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와 파리제13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참여연대 조세재정개혁센터 소장을 맡은 세금과 재정 정책 전문가다.
그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국가마다 상황이 다 다른 만큼 이론적으로 (적정 복지 지출 수준 등에 대한) 객관적인 수치가 나오긴 어렵다”면서도 “인구 구조나 경제 발전 속도가 다양한 고·중소득 국가로 구성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을 기준으로 삼아 비교하는 것이 가장 객관적인 기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OECD 회원국의 물리적 평균이 아니라 고령화나 경제 발전 속도 등 최소한 2가지 정도 기준을 고려해서 본 평균이어야 한다”고 부연하며 “(복지 지출을 GDP의) 정확히 몇 %까지 달성하겠다는 목표는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대강의 수치가 주어져야 정부가 계획을 짜거나 국제적인 달성 수준 등을 확인할 때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복지 재원을 마련하려면 한두 세목이 아닌 보편적인 증세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국가채무를 늘리기보다 혜택을 받는 만큼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지불하는 ‘중부담 중복지’를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부동산 보유세 등 재산세 증세만으로 복지국가의 초석을 놓겠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면서 “OECD 평균 수준의 복지 국가로 나아가려면 일정 소득 이상 계층의 비과세·감면을 확 줄이는 등 결국에는 소득세와 소비세도 건드리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