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테가 스물 세 살부터 죽기 8개월 전까지 약 60여 년에 걸쳐 쓴 희대의 역작 <파우스트>. 1만 2천 행이 넘는 방대한 분량은 물론이거니와 신과 인간, 악과 선, 절망과 구원, 도덕과 욕망 등 쉽게 다가가서 정의할 수 없는 내용으로 많은 이들이 완독을 시도하다 포기에 이르는 경우가 많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우스트, 메피스토펠레스, 그레첸 등 작품 속 인물들의 강렬한 캐릭터와 이들이 펼치는 서사는 많은 예술 작품 속에서 거대한 상징으로 등장해 우리에게도 그리 낯선 존재가 아닌 것이 사실이다.
한아름 재창작, 서재형 연출의 <메피스토>는 제목 그대로 주인공 파우스트가 아닌 그의 곁에 있던 악 메피스토펠레스(이하 메피스토)를 선택해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메피스토는 철학, 의학, 신학 등 평생 다양한 학문을 탐구해왔지만 결국 자신이 아는 것이 하나도 없음에 깊은 절망과 회의를 느낀 파우스트에게 다가가 파우스트가 놓쳤다고 생각하는 젊음, 쾌락의 기회를 주는 대신 그의 영혼을 담보로 잡는 악의 존재.
이러한 설정은, 악의 유혹에 빠져 스스로 타락한 파우스트가 결국 신의 구원을 받는 원작의 전개가 아닌, 인간들에게 끊이지 않고 찾아오는 수많은 유혹의 순간이 단순한 악의 발현인지, 아니면 인간의 숙명인지 되물으려 하는 시선일 것이다. 이로서 유혹에 빠져 허우적대는 인간의 어리석음을 조롱하는 대신, 인생에 있어 악은 숙명이니 그 악의 손길에서 벗어나려 끊임없이 번뇌하는 인간의 모습 자체에 경의를 표하는 모습이 더욱 부각될 수 있는 것이다.
극의 구성 역시 파우스트의 절망, 메피스토의 내기, 그리고 그레첸의 등장과 발푸르기스의 밤 등 거대한 원작에서 강렬한 상징성을 가진 몇 장면만을 더욱 집중하고 있다. 강렬한 이미지를 극대화시키는 것은 서재형 연출이 그의 전작들에서 종종 선보였던 코러스(<메피스토>에서는 정령들)들이 외치는 강렬한 불협화음과 파우스트의 내면을 장악한 듯 무대 후면에 떠오르는 메피스토의 영상 등이다.
무엇보다 이번 작품에서 단연코 빼어난 존재는 메피스토 역을 맡은 전미도이다. 통상 남자로 인식되어 온 메피스토이나 이번엔 남자와 여자 그 어느 쪽인지 알 수 없는 양성성의 존재로 전미도가 등장한다. 신에게 당당히 도전장을 내미는 거침없는 배짱의 모습부터 결국 빛을 피해 한껏 몸을 웅크리면서도 "내가 그에게 달라붙은 건가, 아니면 그가 날 찾아온 건가"를 외치는 최후의 변론까지, 작은 체구에서 뿜어져나오는 것이라고는 도저히 믿을 수 없을 만큼 강렬한 카리스마와 오싹하리만큼 섬뜩한 파열음의 보이스는 관객들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그야말로 무대 위에서 전미도는 날고 또 날아다닌다.
여러가지로 <메피스토>는 많은 공연 팬들에게 반갑고 강렬한 작품으로 남을 것이다. 현 시대와 관객에 맞는 고전 비틀기의 새로운 제시가 되고 있음이 분명하며, 감히 상상하지 못했을 한 배우의 또다른 모습을 꺼내어 활짝 펼치게 해주는 기회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창작진도, 배우들도, 그리고 관객들도 승자가 된 무대는 극히 드물 것이다.
글: 황선아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suna1@interpark.com)
사진: 플레이디비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