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PF 사업에 참여를 준비 중인 건설사들이 땅값 산정을 두고 고민에 빠졌다. 사업시행자인 토공 등 공기업이 토지가격 비중을 높게 책정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그러나 분양가 상한제 적용까지 받는 상황에서 자칫 땅값을 높게 써낼 경우 손실이 불가피해 참여회사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판교신도시 중심상업용지가 대표적이다. 5월 말 사업자 선정공고가 나간 판교 중심상업용지 PF 개발사업은 시행자인 한국토지공사가 사업자 선정 기준에서 토지가격 배점을 종전에 비해 20% 포인트 높인 50%로 올렸다.
이에 따라 사업계획 비중은 종전 70%에서 50%로 줄었다. 토공은 "사업계획 배점이 높아 주관적 심의 소지가 높다는 지적이 있어 토지가격 배점을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7월 말 공모예정인 '용산 역세권+서부 이촌동 개발' 사업도 땅값이 사업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상황이 이쯤되자 사업을 준비하는 업체들 사이에서 사업시행자의 지나친 땅값 욕심을 비난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판교 사업을 준비 중인 A건설사 관계자는 "주관적 심의를 배제키 위해 땅값 비중을 높였다고 하지만 이 사업을 통해 이익을 극대화하겠다는 게 토공의 속내일 것"라고 꼬집었다.
그러나 땅값이 치솟는 데는 사업시행자의 땅장사 논란 못지않게 참여 회사들의 과도한 경쟁도 한 몫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판교 중심상업용지의 경우 신세계, 롯데, 현대백화점 컨소시엄에 이어 한양, 미래에셋까지 가세하면서 5파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류우드 2사업도 삼성건설, GS건설, 대우건설, 두산건설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공모형 PF 사업이 공공기관의 땅장사 욕심과 업계의 과도한 경쟁으로 본래의 취지에서 벗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