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지금 가장 잘 나가는 뮤지컬은 무엇일까.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산하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운영하는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에 따르면 ‘브로드웨이 42번가’가 예매율 1위(이하 8일 기준)를 달리고 있다.
그런데 주요 티켓 예매처 결과는 제각각이다. 인터파크에서는 ‘웃는 남자’의 블루스퀘어 공연이 1위인 반면 예스24와 하나티켓에서는 ‘바넘: 위대한 쇼맨’이 정상을 지키고 있다. 두 작품에 대한 정보는 공연예술통합전산망에서 확인할 수 없다.
공연계에서 흥행작이 무엇인지 한눈에 알기란 쉽지 않다. 공연 시장 규모도 파악이 힘든 상황이다. 이르면 내년부터 이런 혼란이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티켓 예매율 등 공연 관련 자료 전송을 의무화하는 ‘공연예술통합전산망 활성화를 위한 공연법 개정안’이 최근 발의돼 올 하반기 국회에서 통과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문체부도 공연예술통합전산망 활성화를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어 공연계의 새로운 변화가 예상된다.
|
◇“한국도 브로드웨이 같은 ‘박스오피스’ 필요”
최근 국회의원회관에서 만난 노 의원은 “영국에 ‘웨스트엔드 박스오피스 리포트’, 미국에 ‘브로드웨이 리포트’가 있는 것처럼 한국에도 공연 박스오피스가 필요하다”며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을 활성화시켜 제대로 된 공연 정보를 제공해 관객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공연산업의 획기적인 성장을 이끌어내겠다”고 법안 취지를 설명했다.
공연계는 그동안 공연정보가 기획사·제작사·유통사에 분산돼 있다 보니 공연 관련 통계 정보의 수집과 활용이 어려웠다. 현재 공연 시장 전체 규모도 7500억~8000억 원으로 추정만 하고 있을 뿐 정확한 규모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문체부는 예술경영지원센터를 통해 2014년부터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을 운영하고 있지만 자료 제공이 의무가 아니다 보니 데이터 수집 비율은 전체 시장의 38%에 불과할 뿐이다.
노 의원은 “(현재 공연시장은) 각 주요 예매처마다 인기공연 순위조차 다를 정도로 공연을 만드는 사람도 투자하는 사람도 보는 사람도 객관적 정보가 없는 ‘깜깜이 공연시장’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영화산업은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가입 의무화로 튼튼한 기초시스템을 구축했고 그 결과 1000만 영화시대를 열며 눈부시게 도약했다”면서 “공연산업 역시 공연예술통합전산망 활성화로 비약적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
◇공연계는 환영과 우려 공존
공연계는 기대와 우려가 공존한다. 정인석 한국공연프로듀서협회장은 “공연 관련 정보를 자료로 활용하는 것에는 반대하지 않는다”면서도 “객석 규모, 공연 기간, 티켓 가격 및 할인, 제작비, 유통구조, 티켓 구매 방식 등 영화보다 복잡한 구조를 지닌 공연계에 대한 세심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 회장은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은 장기적인 안목으로 접근해야 하며 즉각적인 실효성에 대한 기대는 섣부르다”라고 강조했다.
공연계 대표 티켓 예매처인 인터파크도 비슷한 입장이다. 인터파크 관계자는 “공연 산업의 정확한 데이터 확보 및 투자 활성화를 위한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의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강제성을 띈 법제화를 서두르기보다 산업 제반주체의 입장을 좀 더 수렴할 필요가 있고 업계 지원책이 제시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주체(기획사)가 왜 자료를 적극적으로 제공하지 않는지에 대한 이유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공연계가 그동안 공연예술통합전산망 참여에 소극적이었던 것은 제작비와 매출 등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할 경우 투자 등이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한 공연제작사 관계자는 “제작사 입장에서 작품 제작과 관련한 투자 구조를 공개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게 사실”이라며 “향후 정보 공개에 대한 지원책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공연예술통합전산망 활성화는 올해 문체부의 주요 정책이기도 하다. 현재 공연법 개정안 통과 이후 필요한 예산을 산출하는 등 정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문체부 관계자는 “공연계에서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의 가입 의무화를 시행하려면 모든 단체가 동일하게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해 법안 발의로 추진하게 됐다”며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의 정보를 펀드 조성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예산을 마련하는 등 지원책을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