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북한군의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로 중상을 입은 당시 하재헌 육군 하사가 사고 직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남긴 글이다. 하 하사는 DMZ 수색작전을 위해 통문을 열고 나가던 중 목함지뢰를 밟았다. 북한군이 군사분계선(MDL)을 몰래 넘어와 매설한 것이었다. 이 사고로 그는 오른쪽 다리 무릎 위와 왼쪽 다리 무릎 아래를 잘라내야 했다. 함께 수색작전에 나섰던 김정원 하사 역시 목함지뢰의 폭발로 오른쪽 발목을 절단했다. 지뢰가 얼마나 비인간적 살상무기인지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
최전방 지역은 말 그대로 ‘지뢰밭’이다. 남북한 군이 6·25 전쟁 이후 첨예하게 대치하면서 지상에 뿌리거나 땅속에 매설한 결과다. 경기도 연천부터 강원도 철원·화천·양구·인제 지역 비무장지대(DMZ) 일원을 돌아다니며 가장 흔하게 본 것 중 하나가 지뢰 경고 표식이었다. ‘지뢰’라고 쓰인 빨간 표지판과 철조망은 민간인통제선(민통선)을 지나면서부터 DMZ에 이르는 곳곳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이중 사각형 표지판은 지뢰를 매설한 것으로 확인된 지뢰지대 표시다. 역삼각형 표시는 지뢰 유무가 확인되지 않은 미확인 지뢰지대임을 뜻한다.
우리 군이 매설한 지뢰는 M-14 및 M-16 대인지뢰와 M-15 대전차 지뢰다. 국방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지뢰지대는 총 1290여개소다. 면적은 약 112㎢로 안양시의 두 배 규모다. 이중 확인된 지뢰지대는 1070여 개소 약 18㎢ 정도다. 미확인 지뢰지대가 220여 개소 약 94㎢나 된다. 확인된 지뢰는 DMZ 내부 493개소에 40여만발, 민간인통제지역 232개소에 44만여 발이다. 미확인 지뢰까지 포함하면 100만여발 이상이 매설돼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지뢰에 의한 인명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호우나 산사태로 인한 지뢰 유실로 군사지역을 벗어난 곳에서까지 지뢰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2016년 강원도 양구지역에서 외국인 근로자가 농경활동 중 대인지뢰를 밟아 부상을 입었다. 또 화천에서 경지 정리 작업을 하던 민간 덤프트럭이 대전차 지뢰를 밟아 폭발한 경우도 있었다. 지뢰금지국제운동(ICBL)의 한국지부인 ‘평화나눔회’에 따르면 전국에 민간인 지뢰피해자는 사망 230여명, 부상 360여명 등 590여명에 달한다. 이중 대부분이 강원도·경기도·인천광역시의 접적지역 주민들이었다. 분단 이후 전체 민간인 피해자는 1000여명에 이를 것이라고 추산했다.
지뢰는 사람 뿐 아니라 생태계도 위협하고 있다. 강원도 인제 군부대에서 만난 한 장교는 “야간 DMZ 매복 작전 중 동물들의 지뢰밟는 소리에 깜짝깜짝 놀란다”면서 “다리 한쪽 없는 고라니 등 부상을 입은 야생동물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고 전했다.
|
獨과 사정 달라…DMZ 일대 지뢰, 한꺼번에 제거 불가능
한반도 평화 분위기 속에 남북한 사이의 DMZ도 독일의 옛 접적지역인 ‘그뤼네스 반트’(Grunes Band·녹색띠)와 같은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희망이 싹트고 있다. 그뤼네스 반트는 독일 분단 시절 동독과 서독 경계 지점에 있던 1393km 길이의 DMZ다. 현재는 생태·역사교육과 관광의 장으로 변모했다.
과거 이 곳에도 130만개의 지뢰가 매설돼 있었다. 독일은 자유로운 왕래의 걸림돌인 이 지뢰를 통일 이전에 제거하기 시작했다. 애초에 설계도면을 기초로 지뢰를 매설했기 때문에 이를 회수하는 것도 비교적 쉬었다. 특히 퇴역 장병 등 지뢰 설치자들을 수소문해 이른바 ‘인간지도’를 만들었다. 이를 통해 기존 설계도면에 없는 지뢰 위치까지 대부분 파악했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 사정은 다르다. 우리 군 역시 지뢰지도가 있긴 하지만 무차별적으로 살포한 미확인 지뢰가 너무 많다. 지뢰를 제거하려면 DMZ 생태계를 포기해야 하는 것이다. 지뢰는 DMZ의 평화적 이용 문제의 딜레마다. 군 관계자는 “지난 2000년 남북한 경의선 철도와 도로 건설 과정에서 남쪽 지역에서만 3만6000여 발의 지뢰를 걷어냈다”면서 “DMZ 일원의 지뢰를 한꺼번에 제거하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남북 간 협의에 따라 대상 구역을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없애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