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의 꿈]⑫남북 이을 '오작교' 놔야하나…84만발 지뢰에 가로막힌 생명의 땅

DMZ 평화적 이용 최대 걸림돌 ''지뢰''
미확인 지뢰 포함 땐 100만발 넘을 듯
한국전쟁 후 민간인 피해 1000여명 추산
지금 속도로 지뢰 제거땐 489년 걸려
대량 제거 위해선 생태계 파괴 불가피
  • 등록 2018-05-15 오전 5:30:00

    수정 2018-05-15 오전 5:30:00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두 번 다시 나 같은 사고 피해자가 생기면 안됩니다.”

2015년 북한군의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로 중상을 입은 당시 하재헌 육군 하사가 사고 직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남긴 글이다. 하 하사는 DMZ 수색작전을 위해 통문을 열고 나가던 중 목함지뢰를 밟았다. 북한군이 군사분계선(MDL)을 몰래 넘어와 매설한 것이었다. 이 사고로 그는 오른쪽 다리 무릎 위와 왼쪽 다리 무릎 아래를 잘라내야 했다. 함께 수색작전에 나섰던 김정원 하사 역시 목함지뢰의 폭발로 오른쪽 발목을 절단했다. 지뢰가 얼마나 비인간적 살상무기인지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강원 양구군 방산면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의 두타연 계곡 가는 길목에 있는 폐기된 군 시설이다. 지뢰 매설 지대라는 경고문구가 붙어있다.
지뢰지대 면적, 안양의 두 배…미확인 지뢰만 108만여 발

최전방 지역은 말 그대로 ‘지뢰밭’이다. 남북한 군이 6·25 전쟁 이후 첨예하게 대치하면서 지상에 뿌리거나 땅속에 매설한 결과다. 경기도 연천부터 강원도 철원·화천·양구·인제 지역 비무장지대(DMZ) 일원을 돌아다니며 가장 흔하게 본 것 중 하나가 지뢰 경고 표식이었다. ‘지뢰’라고 쓰인 빨간 표지판과 철조망은 민간인통제선(민통선)을 지나면서부터 DMZ에 이르는 곳곳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이중 사각형 표지판은 지뢰를 매설한 것으로 확인된 지뢰지대 표시다. 역삼각형 표시는 지뢰 유무가 확인되지 않은 미확인 지뢰지대임을 뜻한다.

우리 군이 매설한 지뢰는 M-14 및 M-16 대인지뢰와 M-15 대전차 지뢰다. 국방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지뢰지대는 총 1290여개소다. 면적은 약 112㎢로 안양시의 두 배 규모다. 이중 확인된 지뢰지대는 1070여 개소 약 18㎢ 정도다. 미확인 지뢰지대가 220여 개소 약 94㎢나 된다. 확인된 지뢰는 DMZ 내부 493개소에 40여만발, 민간인통제지역 232개소에 44만여 발이다. 미확인 지뢰까지 포함하면 100만여발 이상이 매설돼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民·軍 지뢰 피해 잇따라…지뢰 모두 제거하는데 489년

문제는 지뢰에 의한 인명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호우나 산사태로 인한 지뢰 유실로 군사지역을 벗어난 곳에서까지 지뢰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2016년 강원도 양구지역에서 외국인 근로자가 농경활동 중 대인지뢰를 밟아 부상을 입었다. 또 화천에서 경지 정리 작업을 하던 민간 덤프트럭이 대전차 지뢰를 밟아 폭발한 경우도 있었다. 지뢰금지국제운동(ICBL)의 한국지부인 ‘평화나눔회’에 따르면 전국에 민간인 지뢰피해자는 사망 230여명, 부상 360여명 등 590여명에 달한다. 이중 대부분이 강원도·경기도·인천광역시의 접적지역 주민들이었다. 분단 이후 전체 민간인 피해자는 1000여명에 이를 것이라고 추산했다.

지뢰는 사람 뿐 아니라 생태계도 위협하고 있다. 강원도 인제 군부대에서 만난 한 장교는 “야간 DMZ 매복 작전 중 동물들의 지뢰밟는 소리에 깜짝깜짝 놀란다”면서 “다리 한쪽 없는 고라니 등 부상을 입은 야생동물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고 전했다.

우리 군 중서부전선 관측소(OP)에서 바라본 비무장지대(DMZ)와 북한 지역 모습이다. 겉으로는 평온한듯 보이지만 이 지역에는 수많은 지뢰가 묻혀 있다.
군은 매년 4억4000만원을 들여 10만~20만㎡의 면적, 500여개의 지뢰를 제거하고 있다. 이런 추세대로라면 지뢰를 모두 제거하는데 489년이 걸린다는 계산이다. 특히 현무암 협곡지대가 많은 중서부전선은 지뢰 탐지에 애를 먹고 있다. 현무암 성분에 철 산화물이 포함돼 있어 탐지기로 정확히 지뢰를 찾아내는 게 쉽지 않다. 이 경우 지뢰지대 개척장비인 ‘미클릭’ 등의 중장비로 땅을 파헤쳐 지뢰를 터뜨려야 하는데 환경 파괴가 뒤따른다.

DMZ 내에는 북한군 지뢰도 수두룩하다. 북한군 대인지뢰는 목함(PMD-57)·수지재(PMN)·강구(BBM-82) 지뢰와 ATM-72·ALM-82 대전차 지뢰 등으로 알려져있다. 이 역시 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장비로 탐지가 어렵다. 목재와 플라스틱 등 비금속 지뢰이기 때문이다.

獨과 사정 달라…DMZ 일대 지뢰, 한꺼번에 제거 불가능

한반도 평화 분위기 속에 남북한 사이의 DMZ도 독일의 옛 접적지역인 ‘그뤼네스 반트’(Grunes Band·녹색띠)와 같은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희망이 싹트고 있다. 그뤼네스 반트는 독일 분단 시절 동독과 서독 경계 지점에 있던 1393km 길이의 DMZ다. 현재는 생태·역사교육과 관광의 장으로 변모했다.

과거 이 곳에도 130만개의 지뢰가 매설돼 있었다. 독일은 자유로운 왕래의 걸림돌인 이 지뢰를 통일 이전에 제거하기 시작했다. 애초에 설계도면을 기초로 지뢰를 매설했기 때문에 이를 회수하는 것도 비교적 쉬었다. 특히 퇴역 장병 등 지뢰 설치자들을 수소문해 이른바 ‘인간지도’를 만들었다. 이를 통해 기존 설계도면에 없는 지뢰 위치까지 대부분 파악했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 사정은 다르다. 우리 군 역시 지뢰지도가 있긴 하지만 무차별적으로 살포한 미확인 지뢰가 너무 많다. 지뢰를 제거하려면 DMZ 생태계를 포기해야 하는 것이다. 지뢰는 DMZ의 평화적 이용 문제의 딜레마다. 군 관계자는 “지난 2000년 남북한 경의선 철도와 도로 건설 과정에서 남쪽 지역에서만 3만6000여 발의 지뢰를 걷어냈다”면서 “DMZ 일원의 지뢰를 한꺼번에 제거하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남북 간 협의에 따라 대상 구역을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없애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조언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청룡 여신들
  • 긴밀하게
  • "으아악!"
  • 이즈나, 혼신의 무대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