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집값은 10년 새 ‘기껏’ 1억원 정도 오른 것 같다. 그 사이 아버지는 퇴직했고 금리는 올라 이자만 겨우 갚고 있다. 같은 단지 내 중소형 집은 가격이 잘도 오르는데 A씨 집은 10년째 답보상태니 화가 나 연초부터 아파트 시세는 쳐다보지도 않는다. 최근 들어선 특히 부인의 눈총이 따갑다. 결혼 전 부인에게 “강남 유명 단지인 만큼 집값이 껑충 뛸 테이니 조금만 ‘시집살이’를 하자”고 설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이를 하나 낳고 3년이 지날 때까지 분가는 요원하다. 대출을 같이 갚는 남동생도 올해 결혼 예정이라 A씨 걱정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대기업 임원 출신인 B씨(65)는 2009년 강남 아파트를 팔고 당시 ‘뜨던’ 경기도 용인시 죽전에 전용 150여㎡짜리아파트를 7억7000만원을 주고 구입했다. 이 단지의 현재 호가는 5억원대 초반이다. 집값이야 떨어질 수 있다고 치지만 두 자식을 분가시키고 아내와 단둘이 살기에 집이 너무 커서 매도하려고 해도 집이 나가지 않는 상황이다.
서울 아파트값이 강남을 중심으로 꾸준한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대형 평형에 사는 이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10년 전만 해도 ‘부의 상징’이자 최고의 투자상품으로 인기를 끌던 대형 아파트의 매매 가격이 좀체 오르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중대형 아파트 시대가 오기를 바라고 있지만 시장 상황은 녹록지 않다. 핵가족화가 급격히 이뤄지고 1~2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대형보다 오히려 소형 아파트의 인기가 더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택 매매가격은 규모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대형의 약세는 대부분 지역에서 공통된 현상으로 나타났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대형 아파트는 2000년대에 가격이 상대적으로 많이 오르기도 했으나 금융위기 이전 과도한 공급과 이로인한 미분양 급증으로 큰 타격을 받은 이후 아직 옛 영광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1~2인 가구 증가에 따른 소형 아파트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대형과 소형의 가격 상승률 격차는 더 벌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10년 전 중소형 두 채 샀으면 두 배 차익”
같은 기간 같은 단지 내 중형 아파트값은 곱절로 뛰었다. 이 아파트 전용 85㎡형(11층) 현재 매매값은 22억 7000만원으로 2009년 9월 같은 전용면적 거래가(11억 3400만원, 3층)보다 11억원 넘게 올랐다. 만약 A씨가 10년 전 전용 85㎡형 두 채를 샀다면 22억원 가량 차익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이다.
중형 아파트의 경우 발코니 확장 등 특화설계를 통해 대형 못지않은 주거공간 설계가 가능해진 것도 대형 아파트 인기 하락에 한몫했다. 면적은 중형이지만 더 값싼 가격으로 넓게 지낼 수 있는데다 관리비까지 저렴한 것이 장점이기 때문이다. 조은상 리얼투데이 실장은 “최근 몇 년 새 1~2인 가구가 늘면서 대형 수요가 전에 비해 많지 않은데다, 대형 아파트는 가격도 워낙 비싸다 보니 팔려고 해도 매매 거래마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면서도 “대형 아파트라도 입지가 좋고 인프라 등이 잘 갖춰진 곳은 인기를 누릴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