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업의 성공과 실패도 마찬가지다. 기획, 설계, 발주와 같이 ‘시공 이전’(pre-construction·프리콘) 단계에서 철저한 준비가 이뤄져야 이후의 시공, 운영 및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 성공적으로 건설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손자병법’ 제1편이 전쟁 이전에 치밀한 계획을 강조하는 것과 같이, 건설 사업도 시공 이전 단계의 활동을 의미하는 ‘프리콘’이 중요하다. 시공 이전의 프리콘 활동이 전체 건설사업 비용에 미치는 영향은 90%에 달한다.
건설 선진국일수록 프리콘 단계의 글로벌 경쟁력이 높다. 글로벌 기업일수록 사업개발과 기획, 개념설계와 기본설계, 설계관리를 비롯한 엔지니어링 등 프리콘 역량이 탁월하다. 반면에 한국은 오랫동안 시공 중심의 건설 산업 구조가 고착화돼왔다. 우리 기업들은 해외건설시장에서 시공 중심으로 사업을 영위해 왔다. 건설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시공 이전 단계의 설계와 엔지니어링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지만, 아직도 이렇다 할 변화는 없다. 법·제도와 건설업계의 관행은 여전히 프리콘 활동의 핵심인 설계와 엔지니어링 업무를 ‘건설용역업’으로 규정하고, 시공 업무를 보조하는 기능으로 활용하고 있을 뿐이다. 게다가 형편없이 낮은 용역 대가, 저가 수주를 부추기는 발주제도 등으로 인해 설계와 엔지니어링 업계는 저 수익의 악순환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저 수익 구조에서는 임직원의 임금도 낮을 수밖에 없고 우수 인력을 끌어 들일 수도 없으며 직원교육이나 디지털 전환을 위한 투자도 어렵다. 그러다 보니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도 어렵고 건설업계를 선도하면서 산업혁신을 이끌 수도 없다.
시공 이전 단계에서 원가, 일정, 품질 등에 관련한 제반 사항을 치밀하게 계획해서 건설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되게 하는 사전 활동이 프리콘이다. ‘손자병법’ 제1편처럼 건설 사업의 성공도 치밀한 계획에서 출발해야 가능하다. 앞으로 프리콘 활동의 강화를 통해 건설 산업을 혁신하고자 한다면, 개별 건설기업만이 아니라 범 건설업계의 협력과 발주자의 지원 및 법·제도의 개선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