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최근 사흘간 전기차 소재 사업의 성장성 우려로 8.1% 하락했지만, 내년부터 한솔케미칼은 글로벌 배터리업체들로 전기차 신소새 공급이 본격화하는 동시에 전기차 소재의 제품 라인업 확대도 예상돼 우려는 기우에 그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2023년부터는 글로벌 자동차 업체와 전고체 배터리용 고체 전해질 양산도 시작될 것으로 예상돼 한솔케미칼의 전기차 소재 영업이익 비중은 2021년 10%에서 2023년 25~30%에 근접할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한솔케미칼의 분기 평균 영업이익은 556억원(올해 연간 영업이익 2222억원)에서 내년에는 700억~800억원(2022년 영업이익 2800억~3200억원) 가시화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김 연구원은 “한솔케미칼의 소재(전기차 소재, QD OLED 재료, 반도체소재:프리커서, 과산화수소)가 삼성전자(005930), 삼성SDI(006400), 삼성디스플레이 등 삼성그룹 주요 계열사에 사실상 독과점적 공급 구조를 확보하며 신규사업(의료용소재:NBL) 확대와 더불어 매출이 동시에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연말 성과급을 제외한 4분기 수정 영업이익은 800억원 수준에 이를 전망이어서 내년 분기평균 영업이익 700억~800억원 달성 가시성은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다
그는 “2022년 추정 실적 기준 전기차 소재 5개사의 P/E는 평균 53.1배로 한솔케미칼 P/E 13.1배대비 305% 할증거래되고 있어 한솔케미칼은 전기차 소재업종중에서 가장 저평가된 업체”라며 “지금은 밸류에이션 상승에 초점을 맞출 때”라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