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코로나19와 관련해 기재부가 발표한 경제동향 자료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대면 중심 예술활동은 어느 영역보다도 큰 피해가 누적되고 있다. 물론 정부와 지자체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 다양한 긴급지원을 계속 만들고 있다. 그러나 이 긴급지원들은 공모 방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아서 생존의 기로에 선 당사자들 사이에 다시 적자생존의 논리를 강제하는 측면이 있다.
게다가 이렇게 불쾌한 경쟁과 낙오를 감수하고 정부와 지자체가 준비한 긴급지원을 손에 쥐게 되더라도 그 내용물은 만성 생활고에 시달리는 다수의 예술가 및 예술단체에 대한 저금리 융자나 간접지원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서울시의 공공미술 사업에 대한 우려가 떠오르는 와중에 문체부는 다른 한편에서 엄청난 규모의 공공미술 사업을 준비 중이다. 문체부는 1699억 원 규모의 3차 추경 일자리 사업에서 전체 추경액의 45%인 759억 원을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편성했다. 이 사업은 전국 기초지자체별로 4억 원 규모의 프로젝트 1개를 지원해 미술인 8436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을 골자로 한다.
차라리 서울시와 정부가 이 예산을 예술가들에게 직접 지원한다면 더 많은 이들이 코로나19를 버틸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물론 여러 행정적 한계를 돌파해 직접지원이 확대되더라도 그것이 코로나19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코로나19의 초장기화를 견디려면 정부가 영국처럼 복권기금을 헐어서라도 재원을 만들어 예술인을 직접 지원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예술계는 정부가 예견된 재난을 외면해온 대가로 임기응변식 대책들로 버티는 게 전부인 답답한 상황에 머물러 있다. 그렇지만 어떻게든 버텨내서 코로나19가 종식되는 날이 온다면 그때는 언제 다시 더 강력하게 돌아올지 모를 전염병에 대비해 사회보장 제도의 사각지대를 획기적으로 보완하는 것은 물론이고 예술재난 보험, 예술재난 기금 등과 같은 선제적 대비책들도 반드시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