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비자도 중국 직접구매(직구)를 대폭 늘리고 있다. 이미 미국 직구 규모도 넘어섰다. 직구 소비자는 과거 고가제품을 주로 샀으나 최근에서 저가의 ‘가성비’ 제품을 산다. 중국산 제품은 중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과 함께 규모의 경제 효과도 톡톡히 누리며 초저가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시장만으로도 작지 않은데 이를 해외시장으로 확대하면서 그 효과가 더 커졌다.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의 부상으로 한국 전자상거래 기업은 위축되고 있다. 또 이 플랫폼에 입점한 한국 기업도 위협받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 제품을 수입해 한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판매하던 기업은 더 큰 타격이다. 중국 직구로 경제적인 손실 외에도 가품(짝퉁) 수입이 증가하고 심지어 한국 소비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유해물품 수입도 늘어나고 있다. 유관기관에서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에 주의를 주고 개선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정부도 한국 전자상거래 기업을 불러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정부 차원의 몇몇 대응이 반드시 필요하다. 150달러로 돼 있는 현 중국 직구 1일 면세한도는 반복 구매 우려가 있다. 월·연간 구매한도를 설정해 한도 초과 땐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 또 유럽연합(EU)처럼 해외직구 제품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부과함으로써 한국 전자상거래 기업에 대한 역차별도 해소해야 한다. 또 가품이나 유해물질이 법정 기준치 이상으로 포함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 시정조치 명령, 과징금 부과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일정 규모를 넘어서는 국외 전자상거래 기업에 대해서는 한국 법인 설립을 의무화해 한국 소비자의 피해를 보상토록 해야 한다.
한국 전자상거래 기업은 글로벌 직판을 확대하기 위해 공동 출자 등을 통한 공격적 마케팅을 펼쳐야 한다. 한국 문화(K-culture)가 글로벌 시장에 널리 알려지면서 한국 제품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 소비자가 한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한국 제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사람들이 한류 제품을 알리를 통해 사는 일만은 막아야 한다. 정부도 해외 수요가 많은 한국 유망 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홍보해 해외직판을 통한 수출 증가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의 한국 습격이 한국 전자상거래 기업의 해외 진출을 자극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