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정부가 올해 수도권 그린벨트에서 공급하겠다던 보금자리 목표량에 비해 실제 공급량은 고작 15% 달성에 그칠 것으로 우려된다.
3일 국토해양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SH공사 등에 따르면 LH는 최근 서울 지역 내 3~4곳의 6차 보금자리 후보지를 국토부에 제안했다.
SH공사 역시 2~3곳의 후보지를 제안했는데, LH가 제안한 입지와 겹치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기도시공사의 경우 구체적인 검토 작업을 하지 않고 있다.
국토부는 최근 보금자리지구 지정 방식을 30만㎡ 미만 소규모로 전환했으며 1개 지구당 1000~2000가구 규모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산술적으로는 2000가구씩 4개 지구를 한다면 8000가구까지 가능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이보다 훨씬 적은 물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구 수를 놓고 보면 정부 입장에서는 LH와 SH공사가 각각 두 곳씩을 맡는 게 이상적이다. 하지만 SH공사가 사업지로 선정한 곳 외에 LH가 제안한 부지까지 추후 사업 예정 부지로 주장하면 그만큼 지구 수는 줄어들게 된다.
LH 관계자는 "3000~4000가구 가량은 할 여력이 있다"면서 "하지만 제안한 입지에 대해 SH공사가 다음 차수에 하겠다고 사업권을 주장하면 LH로서는 6차에서 사업할 곳이 없어진다"고 말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6차 보금자리는 1만가구 미만의 수천가구 수준이 될 것"이라며 "내년에 또 추가 지정을 해야 하므로 각 공사들과 협의해 가급적 이달 중 후보지를 선정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올해 공급 계획량에 포함돼있는 서울 양원(2000가구)과 하남 감북(1만4000가구), 서울 강동(9000가구) 등은 지자체 및 주민 반발 등으로 올해 안에 승인하기는 어려워졌다. 강동 지구의 경우 강동구가 주택 물량 축소를 요구하고 나서 현재 국토부와 협의 중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강동은 현재 협의가 진행 중이고, 감북 지구도 올해 사업승인 하기는 사실상 어렵다"면서 "최대한 공급 계획량을 맞추도록 노력하겠지만 쉽지 않은 게 사실이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당초 올해 보금자리주택 공급 목표를 21만가구로 제시했다가 6월에서야 15만가구로 축소한 바 있다. 하지만 이 역시 달성하기가 요원해진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