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건축사업을 추진하는 서울지역 아파트 단지들과 경기·지방에 있는 단지들 간에 희비가 갈리고 있다. 서울은 집값 상승을 우려한 서울시가 재건축 사업 승인을 잘 내주지 않는 등 모든 행정절차가 더디게 진행되는 반면 이외 지역은 지자체가 도시환경정비를 위해 사업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어서다.
지방으로 내려간 대형건설사
최근 대형건설사들의 지방 재정비사업 시공권 수주 소식이 잇따라 들려오고 있다. 서울시가 도심 내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옥죄면서 일감이 줄어들자 그동안 관심도 없던 경기권과 지방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대형건설사들의 가세로 정비사업이 활기를 띠고 있다.
인천 화수화평재개발사업은 약 5500억원을 들여 2024년까지 18만998㎡ 부지에 지하 3층∼지상 38층 31개 동, 3343가구 규모의 아파트 대단지로 탈바꿈하는 프로젝트다. 이곳은 인천시의 구도심인 동구 동인천역과 반경 약 300m안의 역세권이지만 구도심 쇠락과 함께 인천에서 주거환경이 급격히 나빠진 곳으로 꼽혔다. 도심에 다시 활기를 불어넣으려는 지자체·주민들의 의지가 큰 가운데 대형건설사들의 참여로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청약 열기가 뜨거운 광주에서도 재개발 사업이 관심 대상이다. 특히 북구 풍향동의 서방시장 인근을 재개발하는 ‘풍향구역 재개발 사업’은 지난 5월 조합설립인가를 받으면서 시공사 선정을 눈앞에 두고 있다. 주민들의 개발 의지가 큰 덕분에 약 90%의 동의율로 조합이 설립됐다. 현재 1조원대 규모의 사업비를 놓고 현재 대림 롯데·포스코·현대산업개발·호반 등 대형 건설사가 예비 수주전을 펼치고 있다. 조합에서는 15만1229㎡ 부지에 지하 2층~지상 30층 규모의 아파트 2819가구와 부대 복리시설로 재개발 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지방이 부러워” 속타는 서울 주민들
반면 서울은 강남권과 여의도 일대 아파트 재건축 사업이 답보 상황인데다가 기존 정비사업구역으로 지정된 곳들도 잇따라 강제 해제돼 주민들이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서울에서는 재건축 23곳, 재개발 구역 15곳 등 총 38곳이 내년 3월까지 조합을 설립하지 못하면 일몰제로 인해 정비구역에서 해제된다. 서울 도심 내 대규모 아파트 공급으로 기대를 모았던 중구 세운재정비구역내 여러 구역도 현재 일몰제 리스트에 올라 있다. 종로구의 ‘숭인 제2 주택재개발정비예정구역’도 최근 해제 절차를 밟고 있다.
|
김성환 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서울 강남권이나 여의도는 재건축·재개발사업이 주변의 집값 상승을 견인할 우려가 크다고 시와 정부가 판단하고 있어 정책기조가 바뀌지 않는 한 진행이 쉽지 않을 것”이라며 “이로 인해 일감이 줄어든 대형 건설사들이 입지가 좋은 지방으로 눈을 돌리면서 상대적으로 경기권과 지방시장이 더 큰 관심 대상이 됐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