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우리 국민은 지난해 기준으로 가구당(4인가구 기준) 월 10만6000원의 실손보험료를 내고 있다. 통계청 집계 월평균 소득(439만9000원)의 2.7%를 지출하고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이번 정부 발표로 실손보험의 보장영역이 줄어드는 만큼 굳이 값비싼 보험상품을 유지·가입할 필요가 있느냐는 ‘무용론’마저 나오고 있다. 이러한 우려를 반영하듯 이날 코스피시장에서 손해보험업지수는 2.68%나 하락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기존 가입자들은 일단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한다. 정부 방침대로 비급여가 급여로 모두 전환하려면 최소 5년이 걸리는 등 구체적인 정책의 향배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오히려 지금 실손보험을 해지하면 앞으로 정책 방향에 따라 보장의 사각지대에 놓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문제는 연간 200만명에 달하는 실손보험 신규 수요자들이다. 정 실장은 “기본형을 통해 의료비 부담을 줄이는 보험상품의 필요성은 급여화가 전면적으로 이뤄져도 여전히 필요하다”며 “비급여 의료비가 안정화하면 보험사의 손해율이 떨어져 매년 갱신 하는 보험료가 낮아지기 때문에 특약을 빼고 저렴하게 상품을 유지하는 방법이 좋다”고 권고했다.
현재 실손보험의 비급여 보장률은 80% 정도다. 이 중 80%는 고객이 보험료만 내고 실제 혜택을 받지 않아 건보를 확대 적용하면 민간부분의 실손보험 해약률이 높아질 것으로 보험업계는 전망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상황에선 새로운 형태의 실손보험이 계속 나올 것으로 내다본다.
김헌수 한국보험학회장도 “민영보험은 건강보험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나가는 게 바람직하다”며 “건강보험도 소득보상형이라기보다는 치료비를 보장해주는 상품이기 때문에 보험사 실손 정액형 상품은 당분간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