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4월 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8.3%를 기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예상치(8.1%)를 웃돌았다. 전월인 3월(8.5%)보다는 0.2%포인트 소폭 완화했지만, 1982년 1월(8.3%) 이후 40년3개월 만에 최대 폭 올랐다.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에너지가 가솔린 중심으로 전월 대비 2.7% 하락했고 중고차 가격도 전월대비 0.4% 하락을 이어갔다. 그러나 식품이 전월 대비 0.9% 상승하고 주거가 0.5% 상승을 유지했으며 신규 차량이 1.1% 상승해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는 평가다.
공급망 불안이 결국 물가 상승 압력을 높인 것으로 추정했다. 물가 상승을 견인한 주거 비용은 목재가격 급등으로 주택 건설이 부진해 임대료가 급등했고, 신차 가격은 공급망 불안에 따른 생산 지연으로 인해 급등했다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공급망 관련 뉴욕 연은이 발표하는 공급망 압력지수가 높은 수준에도 정점을 형성한 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점을 주목했다. 이를 감안하면 관련 품목의 상승세 또한 정점을 이룰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높은 수준의 물가로 인해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기조가 크게 완화될 가능성이 기대와 달리 약화되자 기술주, 소프트웨어, 반도체 등도 부진을 보이며 나스닥의 하락을 부추겼다”고 덧붙였다.
국내 증시에서도 관련 업종 매물 출회를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 연구원은 “높은 수준의 물가로 생활비가 부족해지면 팬데믹 시기 일상적으로 누리던 여유가 사라질 것이란 우려에 팬데믹 수혜 업종이 하락한 점은 한국 증시에서도 기술주 중심 매물 출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기조가 약화될 가능성 또한 크지 않아 투자심리 위축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