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사태가 길어질 것 같아서 걱정입니다. 일단 금융감독원의 판단을 기다려보는 수밖에요.”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증권(DLS) 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 인사들은 요즘 마른 하늘에 날벼락 맞은 심정이다. 우리은행은 국내 영업을 총괄하는 정채봉 부문장이 직접 나서 대응하고 있고 KEB하나은행은 박세걸 자산관리(WM)사업단장을 총괄로 해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두 은행이 한다는 건 철저히 ‘방어’가 초점이다. “회의를 거듭해도 딱히 직접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게 이들의 토로다.
하지만 은행 입장에서는 억울한 측면도 있다. 현행 자본시장법을 보면 전문투자형 사모펀드에 1억원 이상 투자하는 개인은 ‘일반투자자’가 아니라 ‘적격투자자’다. 이들에게 원금 손실 가능성 같은 ‘설명의무’도 지켰다는 게 두 은행의 주장이다. 이런 상황에서 손해를 배상하는 첫 전례를 남기는 게 옳은지에 대해서는 은행권 내부에서 반대 분위기도 감지된다.
문제는 상황이 단순하지 않다 보니 금감원만 쳐다보는 것 외에 은행이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점이다. 한 관계자는 “금감원의 검사가 부담되고 분쟁조정위원회(분조위)도 만만치 않을 것 같아 준비하고 있다”면서도 “신속하게 마무리 짓기 위해 은행이 실질적으로 할 수 있는 건 없어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또다른 시중은행 고위인사는 “다른 은행들도 사모펀드 논란에서 자유롭지 않은 만큼 이번 첫 전례가 중요하다”며 “금감원의 판단 과정에서 투자자 외에 금융사의 입장도 균형있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