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이사장은 “하나고 1기 졸업생들의 대입 성적이 상당히 좋아 뿌듯하다”며 활짝 웃어 보였다. 지난 40여 년간 대형 인수·합병(M&A)을 성사시키면서 냉철한 금융인이자 경영전략가로 살아온 흔적은 보이지 않았다. 대신 미래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자로서 제2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었다.
김 이사장은 공부를 강요하지 않는 자율적인 학습 분위기와 학업 이외 다양한 활동을 강조하는 실험적인 교육 방식을 도입했다. 그러다 보니 개교 초기엔 반발도 있었다. 학부모들조차 ‘놀면서 대학을 갈 수 있겠느냐’며 김 이사장의 교육방식에 의구심을 나타냈다.
하지만 이젠 상황이 달라졌다. 서울대 46명을 비롯해 첫 졸업생 절반 이상이 소위 ‘SKY(서울ㆍ연세ㆍ고려대)’에 합격하면서 모든 학부모가 입학을 원하는 신흥 명문 고등학교가 됐다
하나고 학생들은 평일 오후 4시 수업이 끝나면 2시간씩 운동이나 악기를 다루는 방과 후 활동을 통해 재충전한다. 수영은 졸업을 위한 필수코스다. 실제로 200m 수영을 완주하지 못한 1기 졸업생 몇몇은 졸업장 원본이 아닌 복사본을 받았다. 체·덕·지(體·德·知)를 겸비해야만 더 넓은 시야를 갖고 유연한 사고로 국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김 이사장의 신념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최근 외환은행의 하나고 출연 무산에 대해선 “교육에 대한 투자를 제한하는 것”이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김 이사장은 “하나고는 하나금융이나 특정 개인의 소유가 아니라 공공의 자산임에도 은행법으로 출연을 막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자율형 사립고 개교를 앞두고 있는 삼성이나 포스코와 같은 대기업은 법적 제약이 없으니 투자를 아끼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첫 입시를 성공적으로 치러낸 기쁨을 누리기에는 아직 이르다면서 벌써 내년 입시를 걱정했다. 전인교육 입시 명문고의 전통을 만들어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그는 “첫 실험은 어느 정도 성공했지만 ‘2년 차 징크스’를 겪지 않으려면 지금부터가 더 중요하다”면서 “자만하지 않고 작년보다 두 배 더 노력해야 한다. 3~4년만 잘 하면 진학 성적에 얽매이지 않고 전인교육을 펼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했다.